세상을 바꾼 비이성적인 사람들의 힘 Social Shift Series 1
존 엘킹턴.파멜라 하티건 지음, 강성구 옮김 / 에이지21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돌+아이'가 시대의 아이콘으로 등장하고 있다. 외형적인 모습으로만 볼 때 지극히 정상적이지 못하고

평범을 거부한, 조직에 순응하지 못하는 사람일지 모르나 그 숨겨진 내면을 살펴본다면 자신만의 특별

한 가치관과 신념을 가지고 형식의 틀을 거부한, 어찌보면 다른 이들보다 시대를 앞서나가는(물론 그

시대에 그것이 앞서간다고 인식되지는 않을수도 있겠지만..) 언제나 새로움을 추구한다는 긍정적 의미

를 가지기도 한다. 레인콤의 MP3 플레이어 '아이리버'를 비롯해 삼성전자의 휴대폰 '애니콜(가로본능)'

, 아모레퍼시픽의 '슬라이딩 콤팩트'등을 단숨에 히트시키며 디자인의 혁명가로 불리는 이노디자인의

김영세 대표는 돌+아리를 이렇게 정의한다. 그들은 '무엇인가에 푹 빠져있는 열정적인 전문가'이며

'일을 일이라 생각하지 않고 진짜 좋아서 하는 그런 사람' 사람이라고 말이다. 비이성적인 사람

들은 어쩌면 우리가 쉽게 말하는 이 시대의 진정한 '돌+아이'가 아닐까? 이제 세상을 바꾼 비이성적인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려한다.

 

"이성적인 사람은 자신을 세상에 적응시킨다. 하지만 비이성적인 사람은 고집스럽게 세상을

 자신에게 적응시키려 한다. 그래서 모든 진보는 비이성적인 사람의 손에 달려 있다." 

                                                         - 극작가 버나드 쇼(P. 010)

비이성은 단순히 정신적인 면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낡은 사고방식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것을

찾아 진화해가는 혁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 사회를 변화시킨 혁신의 힘! 비이성의 힘! 그것은

누구에게서 나오고, 그 힘은 어떻게 생겨났으며, 그 변화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미래 우리

사회는 어떻게 이끌어져 나가야 하는지 <세상을 바꾼 비이성적인 사람들의 힘>을 통해 살펴본다.

세계를 바꾸는 힘은 바로 사회환경적 기업가(Social Environmental Enterpreneur)에게서

나온다. 비이성적 혁신가로도 불리는 그들은 기존의 문제에 도전하고 위험을 감수하면서 새로움을

찾아나선다. 기존의 낡은 틀을 거부하고 혁신과 통찰을 공유한다. 결단력과 성실, 열정 사이에 균형

을 유지하며 변화를 일으키는 사람들을 가르치고, 좋은 쪽으로는 참을성이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사회적 기업가들은 왜 비이성적이고 돌+아이라는 말을 듣는것일까? 그들은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시스템을 바꾸려하고, 정상적이지 않은 야망을 드러내며, 감성에 움직인다. 미래를 내다보는 눈을

지니고 비영리성을 나타내면서도 이윤을 추구하지만 그렇다고 초영웅이 되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는 등의 다양한 이유들이 있다.

 

이 책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된다. 초반의 비이성적인 사회적 기업가가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과 마지막

부분의 에필로그(미래 지도자를 위한 교훈)을 따로 떼어낸다면 5장으로 구성된다고도 볼 수 있을것

같다. 1장에서는 사회적 기업가들이 만들어내는 혁신기업의 3가지 유형과 그들을 가장 고민케 만드는

재원조달과 기타 문제점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2장에서는 미래 시장 창조와 관련해서 UN의 새천년

발전목표(MDGs)를 바탕으로하는 사회적 기업의 10가지 미래기회를 설명한다. 더불어 무하마드

유누스가 말한 분재소비자들을 위한 3가지 과제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사회적 기업가들이 이끌어낸

변화의 방식과 시스템 변화로서 발전하게되는 6가지 영역을 살펴본다. 마지막 결론부분에서는 미래

지도자들을 위한 교훈을 제시함으로써 이야기를 마무리하고 있다.



 

소액대출운동의 선구자이며 그라민 은행의 설립자 무하마드 유누스, 화장실 대소동을 일으킨 잭심,

로리 스테어와 프리플레이 에너지, 크리스토발 콜론과 라 파제다, 파르크소프트와 린콘 ... 등

수많은 사회적 기업과 비이성적 혁신가들의 사례가 있다. 그들을 통해서 바라본 현실은 따스함과

냉정함이 공존한다. 사회적 기업가들에게 현실은 어찌보면 기회이지만 분재같은 사람들에게 현실은

아직도 참혹하기만 하다. 바로 이것이 세상이 많은 사람들이 더욱 비이성적으로 변해야 하는 이유

일 것이다. 더욱이 대한민국에 있어서는 말이다. 얼마전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던 Y제약회사의

비자금사건을 보면서 기업의 사회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던 이 기업의 양면성을 확인하게되어 너무

씁쓸한 맘을 가지게 되었었다. 다른 사람들이 하는 그대로 따라가는 사람과 조직, 기업은 더이상

미래를 낙관하기가 쉽지 않음을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여실히 배울 수 있었다. 미래를 이끌어가기

위한 비이성적인 힘을 새삼 느끼게 된다.

 

이노디자인의 김영세 대표는 'Design is loving others'라는 경영철학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디자인은 마치 사랑하는 사람에게 선물하듯이 한다' 라는 이 경영철학속에 기업이 걸어야할

미래가 담겨있다는 생각이든다. 기업이 추구하는 가장 커다란 목표는 아마도 이윤추구에 있을 것

이다. 하지만 이제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기업도 변화해야 한다. 단순히 환경적 기업으로써만이

아니라 사회적 기업으로써,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주도적 기업으로써의 변화에 가장 중요한

핵심이 김영세 대표의 경영철학속에 담겨있는것 같다. 마치 사랑하는 사람들을 대하듯, 그렇게

따스하고 감동적인 경영을 한다면 세상은 변화하고 그 기업은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이

될 것이 명백해 보인다. '나는 비이성적인 사람들의 힘과 이 책의 힘을 믿는다...'는 파울로 코엘료

의 추천사처럼 이 책을 통해 많은 이들이 비이성적인 힘을 갖게되고 그로인해 세상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을 믿어의심치 않는다.

당신도 한번 세상의 변화를 손아귀에 쥐어보고 싶지 않은가? 그렇다면 꼭 이 책을 만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