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듀마 키 1 - 스티븐 킹 장편소설 ㅣ 밀리언셀러 클럽 86
스티븐 킹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예술은 기억이야, 에드거 더 이상 간단한 정의는 없어!"
최고의 공포소설가로 불리는 스티븐 킹, 수 많은 영화화된 작품들의 원작자이기도 한
그의 작품들속에는 인간 내면의 어두운 악(惡)과 밀폐되거나 한정된 공간과 상황속에
놓여진 인간의 고통을 통해 공포를 극대화하는 작품적 특성을 지니는것 같다. 영화
로도 잘 알려진 '미져리', '미스트', '나는 전설이다'... 등의 작품속에서 주인공들은
특별한 공간이면서도 한정되고 극한의 상황속으로 빠져든다. 그 속에서 솟아나는 인간
본연의 악의와 분노의 표출, 주체하지 못할 만큼 극한의 공포가 우리를 감싸게 만든다.
어떤 존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공포, 서서히 드러나는 공포의 실체속으로 조심스레
발을 내딛어 본다.
듀마키에 뭔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시잖습니까? 도대체 이곳의 정체가 뭐죠?
건축가로 잘나가던 성공남 에드거 프리맨틀, 아내 팸과 두 딸 일제와 멜린다와 함께
행복한 삶을 누리던 그에게 찾아온 사고! 한쪽 팔을 잃고 머릿속에서 종소리가 울려
대고, 진통제로 하루하루를 버텨나가는 180도 변화된 삶이 그에게 찾아온다. 정신적
이상으로 아내의 목을 조르고 칼로 찌르고 폭언은 일삼는 등 난폭함에 팸은 이혼을
선언하고 결국 주치의 케이먼 박사의 권유로 플로리다 해안가의 듀마 키를 찾게된다.
자신을 도와주는 잭, 팔라시오 해변에서 만난 와이어먼과 함께 조금씩 안정을 찾아
가는 에드거에게 그림이라는 새로운 희망이 생겨나지만 그 희망은 공포의 시작이된다.
듀마 키의 거의 모든것을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 귀족의 딸 엘리자베스와 그녀의 언니
로라와 테시의 죽음과 관련된 비극적 가족사. 에드거는 그림을 통해서 현실 혹은 미래
일어날 일들을 예측하게 되고 그 능력을 통해 죽음에서 사람들을 구해낸다. 듀마 키
와 엘리자베스, 그리고 에드거의 그림, 그 숨겨진 연관관계와 서서히 드러나는 공포
의 실체, 듀마키라는 한정된 공간속에서 벌어지는 공포와 죽음의 그림
자들. 공포의
실체를 풀어가는 특별한 능력의 에드거, 와이어먼과 잭과 함께 그 비밀의 문을 연다.
"처음에는 죽게될까봐 두렵더군. 그리고 그 다음엔 죽지 못할까봐 두려웠네"
1999년 교통사고로 사경을 헤메었다는 스티븐 킹. 주인공 에드거의 교통사고와
그 끔찍하고 힘겨운 생활속에 그 자신의 경험이 그대로 녹아 있는듯 보인다. 잘나가던
건축가와 소설가, 사고로 팔을 잃고 정신까지 놓아버린 에드거의 폭력적인 행동과
거친 언어 표현이 그 자신의 그것을 바탕으로 한 것이기에 보다 사실적으로 다가오는것
같다. 처음엔 죽게될까봐 나중엔 죽지 못할까봐 두려웠다는 와이어먼의 말처럼, 갑자기
생활과 가족, 신체와 마음을 잃어버린 사람에게 그 고통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의
아픔일 것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자신의 비관적 현실에 대한 두려움으로의
변화는 사람을 더 힘겹고 고통스럽게 만들것이다. 그런 고통을 예술로 승화 시켰다는
점에서 에드거는 스티븐 킹 그 자신의 모습이 어느정도 투영된 인물로 볼 수 있다.
공포! 그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공포, 그것이야 말로 현기증나는 오싹함을 주고있다.
한정된 공간, 실체를 찾을 수 없는 존재에 대한 공포, 의문으로 가득한 엘리자베스의
가족사, 서서히 공포의 실체가 에드거에 의해 밝혀진다. 공포스런 분위기 속에서도
작가는 와이어먼과 에드거의 대화를 통해 적절한 유머가 잊지 않는다. 과장되지 않으
면서도 편안한 분위기를 이끄는 적절함이 엿보인다. 좀비가 들끊던 전작들의 좀처럼
무섭지 않은 공포에서 벗어나 초창기 스티븐 킹의 상상력과 환상이 되살아 난것처럼
느껴지는 듀마 키에서의 에드거와 친구들의 활약이 신선함을 준다. 소설은 소설로서
그 존재가치를 다하지만, 다가올 다음 여름쯤엔 시원하고 오싹함을 선물해 줄 멋진
영상이 스크린에 담겨질것처럼 같은 느낌이다. 스티븐 킹, 또 하나의 대표작이 이렇게
우리곁에 찾아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