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 ㅣ 아르테 미스터리 1
후지마루 지음, 김은모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1월
평점 :
지난해를 강타했던 영화 '신과 함께'는 수많은 이들의 눈물과 감동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작품이다. 화재로 인해 소방관이 죽게되고 그런 그가 귀인으로 불리게된다. 그런 귀인을 다시 환생시키기 위한 차사들의 활약과 모험을 그린 이 작품속에서 관객들은 어머니와 가족에 대한 사랑을 통해 진한 감동을 받기도 하고, 주인공을 둘러싼 숨겨진 비밀, 또 차사들이 가지고 있던 전생에 대한 궁금증으로 인해 미스터리를 한꺼풀씩 풀어내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죽음! 그것은 언제나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그 속에 담겨져있는 숨겨진 비밀 이야기들을 통해서 가슴을 부여잡기도 하고, 다른이의 안타까운 사정에 자기일처럼 마음을 졸이기도 한다. 후회, 사랑, 미련, 감동, 상실... 죽음을 앞둔 이들의 안타까운 사연에 눈시울을 붉히기도 하고, 혹은 아무리 나쁜 사람의 죽음이라 해도 그 뒤의 시간에 대해서는 용서와 나름의 사정이라는 것을 통해 이해하려는 마음이 한 구석을 차지하게 되기도 한다.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 이런 죽음과 관련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죽음을 맞이 했지만 이 세상을 떠나지 못하고 맴도는 '사자', 그런 사자가 이 세상에 가진 미련을 풀어주어 저세상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맡은 '사신'! 삶과 죽음의 경계, 추가시간이 주어진 사자들의 회한을 풀어주기 위한 시급 300엔짜리 사신 아르바이트가 시작된다. 돈에 쪼들려 사신 알바를 하게 된 이는 고등학생 사쿠라 신지! 학교에서 꽤나 인기있는 하나모리 유키가 이런 사신 알바 사쿠라의 집을 찾아온다.
"난 '사신' 이라는 조직에서 일해. 너도 일하고 싶어 하니까 설명해주라는 지시를 받고 왔어. 일단 우리 목적은 미련이 남아 이 세상을 떠나지 못하는 '사자'를 저세상으로 보내주는 거야. 그리하여 사람들을 '행복'으로 가득 채우고 사회를, 더 나아가 세계를 '행복'하게 만든다는 이념 아래 일하고 있어. '행복'이야말로 인류의 희망! '행복'이야말로 존엄한 희망의 빛! 그걸 실현하는 게 우리의...." - P. 15 -
그렇게 시작된 사신 아르바이트! 하루 네시간 시급 300엔의 아주 최악의 조건을 가진 알바지만, 근무 기간을 채우면 어떤 소원이든 딱하나 이루어주는 '희망'을 신청할 수 있다는 말에 뭔가에 홀리듯 알바를 시작하게 된다. 가장 먼저, 사쿠라가 좋아하던 여학생이기도 했던 아사쓰키를 만나는 일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아무렇지도 않게 사쿠라를 아사쓰키의 집에 데리고간 하나모리 유키, 그런 사쿠라는 조금 당황하지만 고민을 이야기하는 아사쓰키의 도움 요청에 흔쾌히 받아들이게 된다. 사자에게 도움을 주는 사신의 역할! 그렇다면 아사쓰키는...?
사신 아르바이트를 하게된 사쿠라, 그에게 찾아온 사자들의 안타까운 사연들, 낯선 추가시간에 당황하면서도 후회와 미련속에 자신에게 남겨진 문제들을 해결려는 과정속에서 진정하고 깊숙한 그들이 가진 고민과 아픔을 하나둘씩 해결하게 된다. 또 그런 과정속에서 사자들의 문제를 넘어서 사신인 사쿠라나 하나모리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하고 그속에서 또 다른 소중한 가치를 배우게 된다.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의 표지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는 학창시절의 순수한 사랑을 판타지적 감성으로 그려낸, 그런 비슷한 작품들의 느낌이 물씬 풍겨난다. 처음 이야기의 시작도 그렇고, 너무나 가볍고 친근하게 다가오는 하나모리 유키나 사쿠라의 대화나 흐름을 통해서도 조금은 가볍게 만나는데 무리가 없을 그런 작품으로 느껴진다. 하지만 정작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조금은 깊이있고 무거운 느낌으로 다가오는 작품이다. 읽기 쉽고 캐릭터의 매력이 살아숨쉬는 즐거운 작품이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마저 그렇게 가벼운 것만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지난 주말 아주 친한 친구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연세가 조금 많으시고 치매로 조금은 오랜 시간 고생을 하셨다. 당뇨병도 있으셔서 합병증때문에 다른 병증들이 악화되기도 해서 본인은 물론 가족들도 많은 고생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죽음은 언제나 안타까운 사연과 아픔, 그리고 후회라는 단어를 동반한다. 하지만 그것이 오랜시간 힘겨움으로 이 세상에 존재하다보면 죽음은 종종 아픔의 크기로 표현하자면 여러가지로 나타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한다. 아픔도 있겠지만 그 가족에게는 아픔과 아쉬움을 넘어서는 후련함 비슷한 것이 살짝 다가오지 않을까?하는 그런..
요즘 방학을 맞은 아이들이 아빠에게 자주 하는 말이 있다. "아빠! 놀아줘" 아직 어리기도 하지만 아빠가 그만큼 같이 해주는 시간이 부족하기도 했다. 아빠의 대답은? "그래, 나중에~" 아빠는 핸드폰하구 TV만 봐!라고 투덜대는 아이들을 앞에두고 어떤 변명거리가 딱히 떠오르지 않는다. 그래 놀아주마! 말은 쉽지만 피곤에 지친 아빠는 쉽게 자리를 벅차고 일어나지 못하기 일쑤다. 쉬는 주말이면 정말 쉬고 싶기도 하고... 휴~~ 작품속에서 말하는 '행복'은 무엇일까? 미루지 않는것! '나중에~~' 가 아닌 바로 '지금!' 아마도 행복의 시작은 이런 작은 것에서 부터가 아닐까?
<너는 기억 못하겠지만>은 라이트노블 형식의 정말 가볍게 다가갈 수 있는 작품이다. 하지만 그 속에 담긴 주제를 놓고 보자면 결코 가볍게 다가갈 수 없는 깊이와 감동이 있다. 우리 인생에 대해서, 내가 살아가고 있는 이 시간에 대해서, 만약, 내게 죽음이 다가온다면? 하는 가정을 통해서 삶에 대한 자세와 가치를 다시한번 생각케 하는 힘을 가진 작품이다. 가볍지만 묵직하고 진한 감동과 마주하는 특별한 시간! 내가 기억하는 그 시간을 소중하게! 잠시 그런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