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묘촌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요코미조 세이시 지음, 정명원 옮김 / 시공사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아! 긴다이치 코스케가 나오네. 나오긴 하네. 그녀석이 주인공이 아니네. 아 처음 보는 건데... 재미없다고 한 사람 누구야. 기대가 없어서 그런지 난 흥미진진하게 봤는데...
1930년대에 일어난 끔찍한 살인사건 마을사람들을 학살하고 자살한 사건을 배경으로 일본 어디에나 있는가 싶은 몰락무사들이 황금을 숨겨놓고 죽었다는 전설과 결합해서 한편의 러브 살인 로망스??? 를 만들어냈다. 여기서는 아무튼 주인공은 타츠야. 젊고 잘생기고 성격도 성실하다. 게다가 용기도 있다. 히어로다운 풍모를 갖췄잖아. 긴다이치 코스케같은 괴인에 대비되어(아니 애초에 여기서는 괴인이랄만한 건덕지도 별로 안 나오긴 했지만)왠지 더 괜찮아 보이는. 정상인 같아 보이는 게 굿! 이랄까. 게다가 이여자도 저여자도 그를 사랑한다네. 보물도 발견했네. 범인을 밝힌 거야 긴다이치가 했지만 그것도 별 의미가 없는 발견이었네.
...
생각해보면 나 이거 추리소설이라고 생각하고 읽질 않았어!! ㅇ,ㅇ;;
연애 활극 정도로 생각하고 읽은 거 같아. 주말 연속극이라든가... 옛 관습에 얽매이는 폐쇄적인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게 일본 추리 소설에서는 꽤 인기 폭발. 사실 그건 형태는 달라도 우리나라 주말연속극에서도 인기 폭발. '배타적인 폐쇄사회에 들어가려는 사람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여러가지 사건들'이란 점에서 보면 부잣집으로 시집가려는 처녀가 시부모의 반대와 밀어내기에 힘겹게 투쟁하는 모습이 나오잖아. 결국 승리를 쟁취하고... 이 소설 마치 그런 느낌이었어. 타츠야는 잘못한 게 없는데, 가난하지만 성실하게 살다가 부잣집 도련님이라는 게 밝혀져서 가족을 지탱해야한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책임감에 달려간 것 뿐인데.. 다만 당신들의 세계에 침범했다는 이유로 증오하기까지 하게 되는 거잖아. 그런 시련을 이겨내고 결국 승리하게 되어 예쁜 여자랑 해피엔딩~!! 이니..
신화같은 데서 자주 사용되는 모티브이기도 하고 캔디캔디의 모티브이기도 하고, 소공자나 소공녀의 모티브이기도 암튼.. 흔한 패턴이지만 감동적인 패턴이랄까. 이유도 없이 자신을 미워한다는 사실에 괴로워하는 주인공의 심리도 생각보다는 잘 그려졌고 말이지. 노리코 같은 백치타입은 내 취향이 아니지만... 이거 꽤 옛날 거니까 뭐 여성 묘사가 고리타분할 만도 하지만서도... 그래도 투덜거리고 싶은 마음이... 으음. 뭐 어때. 재밌으면 되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망량의 상자 - 하
쿄고쿠 나츠히코 지음, 김소연 옮김 / 손안의책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망량의 상자는 우부메의 여름보다 더 엽기적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민속학적 지식들이 많이 나와서 행복했다. 주술의 구조나 그 효능 등에 대한 이야기는 인류학적인 지식이 바탕이 된 게 아닐까 싶기도하다. 망량에 대한 교고쿠도의 설명이 맘에 들었다. 추리소설의 논리로서는 빈약하기 짝이 없지만 요괴소설이라 치면 정말 괜찮은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죄를 짓는 것에 배경 따위를 애써 갖다 붙일 필요는 없다. 그냥 그 순간 그에게 '바람'이 불었을 뿐이다. 라는 교고쿠도의 말이 상당히 설득력있다. 하지만 사람은 아주 오래전, 집을 짓고 살기 전부터도 '인과관계'를 만들지 않고는 배겨내지 못했다. 우연히 일어나는 자연현상, 사고, 죽음 등에 이해 가능한 이유를 붙여댔다. 저절로 그러하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임에 틀림없다. 사람들은 어쨌거나 이유를 붙여야 안심한다. 하지만 그 원인을 붙였다고 해서 실제로 일어날 일은 막을 수 없다. '바람', 그러니까 '망량'은 아무 때나 어디에나 존재한다, 우리들 안에도. 그런 느낌이 들어서 조금은 우울해졌다. 나는 세키구치와 많이 닮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델피니아 전기 18 - 아득한 별의 흐름에 -하
카야타 스나코 지음, 오키 마미야 그림, 김소형 옮김 / 대원씨아이(단행본)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앞부분에서 리의 잘남을 설명하는 데 소요되는 묘사의 구태의연함을 뛰어넘어, 정말정말 싫어하는 전쟁씬도 뛰어넘어 오로지 '홈코메디러브'와 '암살자 러브', '늑대러브'의 마음가짐만으로 레포트 쓰면서 사흘동안 16권 돌파. 잠을 못자서 어지럽다. 지금은 과사무실. 잘난 놈들만 무더기로 나와서 너무너무너무너무 곱하기 100정도로 재수 없지만 그냥 참고 보고 있다. 나는 그냥 뭐랄까.. 홈코메디가 좋다. 가끔 자신은 인간이 아니라면서 '괴물'이라고 인간이 말하는 것에 의외로 신경쓰고 있는 리를 보면 왠지 '니가 괴물이고 정말 인간이 미우면 인간에게 괴물이라고 불린다고 그리 싫겠냐.'라고 묻고 싶어진다. 좋아하니까, 함께하고 싶으니까, 정말 싫어하는 인간이 아니라면 그런 소리를 듣고 싶진 않은 거겠지. 그냥 익숙해지긴 했지만. 아무리 봐도 리는 바보 같아서, 16권까지 온 지금에야 귀여워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윌 같은 아저씨는 솔직히 싫고, 만만치 않게 닮은 발로도 싫다.(사촌 아니랠까봐) 솔직하지 못한 나시아스나 이븐 쪽이 오히려 취향이랄까. 셰라는 그 중에서도 가장 맘에 들지만 리에게는 좀더 덤벼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한다. 달이나 해나 앙숙해도 괜찮지 않아? 라는 게 내 지론.

음, 그래도 지금까지 여전히 맘에 안드는 것 하나를 들자면, 전쟁 전쟁 전쟁. '전기'니까 당연하지만, 그래도 역시 조금 투덜거리고 싶을 정도. 나는 정말로 전쟁이 싫다. 그냥 뭐랄까 상당히 찝찝하게 그려져 있어서, (리얼하다거나 하는 게 아니라 미묘하게 이상적이랄까..) 마음에 얹힌다. 어쩔 수 없지. 홈코메디를 즐기자. 내가 생각하기에 이 책의 진가는 홈코메디에 있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석 2007-06-08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홈코미디라는 말에 동감.^^
 
열녀문의 비밀 - 하 - 백탑파白塔派 그 두 번째 이야기, 개정판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방각본 소설 가지고 논문을 쓰려고 해선지, 뭣도 모르고 읽었던 방각본 살인사건에 비해 훨씬 흥미진진하게 읽혔다. 얼마전에 북학파에 관한 논문 하나를 읽은 것도 연상되고. 추리소설로서도 나쁘지 않았나? 추리소설로서는 솔직히 잘 모르겠더라. 근거가 빈약하달지... 그치만 캐릭터들의 개성이 전편에 비해 확실히 두드러진다. 히로마사와 세이메이, 왓슨과 홈즈인가! 귀여운 백탑서생들이 좋았다. 만화로 그려도 재밌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상의 책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슬프고 우울하면서도 삶에 대한 열망 같은 게 엿보인다는 점에서 전에 읽었던 폐허의 도시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상실과 그 뒤를 이은 회복의 과정이 지난하게 이어지는 것이 정말로 눈물 겹다. 그런데 중간중간 간간히 어색한 어휘사용이나 오타처럼 보이는 것들이 있어서 신경이 쓰이더라. 폴 오스터는 정말로 우울할 때 읽기 좋은 소설을 쓴다.

그리고 읽으면서 다시금 생각나는 소년마법사의 구절.

이런 건 ―…어쩌면 교감같은 걸 지도 ―…모르지만 할아버지… 난 강해서 일어서려는 게 아니에요. 선 채 얼어붙을 정도의 충격도 아파서 일어설 수 없는 상처도 이 느낌보다는 훨씬 나아요. 생존자라는 말에 화를 냈지만 제 마음에도 절망이 어른거려요. 하지만 설령 이것이 그에 맞서는 행위라고해도 그저 주저앉이 있는 편이 힘겨울 때도 있어요―….

 

왠지 환상의 책과 잘 맞아떨어지는 구절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말로 앞으로 나아가는 수 밖에는 없었던 것이다. 멈춰서 있으면 더욱더 고통스러워져서 절망에 먹혀버릴 것 같아서, 억지로라도 몸을 일으키고 부딪쳐가는 수밖에 없다. 나는 그런 삶을 아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