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Img725472183893521.jpg)
"태극기를 휘날리며"라니, 가당찮다. 차라리 솔직하게 "오, 형제여" 내지는 "무엇을 위하여 총구는 불을 뿜나" 정도로 하는 것이 낫겠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영화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지은 제목이라면 뭐 할 말 없다. 근데 그렇다고 해도 웃기다. 저 "태극기"라는 영문 제목 아래 조그맣게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를 말함"이라는 설명이 붙을 것이 아닌가. 거기에 좌,우의 대립으로 일어났던 전쟁이 배경이라고 하니, 아 저건 반공이데올로기로 점철된 극우영화겠구나, 라는 생각을 누군들 하지 않겠는가. 나도 그랬는데.
그러나, 반공영화 아니다. 그리고, 제목에서의 반감은 영화를 보는 동안만은 잊게 된다. (물론 다 보고 나서는 근데 왜, 태극기냐고~하게 되지만) 내가 지금 전장에 있는지 극장에 있는지조차도 분간할 수 없도록 혼을 쏵 빼놓게 잘 만들어진 전투 장면 속에서 뭘 제대로 생각 해보기란, 나같이 평소에도 머리로 생각하기보다는 가슴으로 느끼기 좋아하는 사람(그니까 머리는 나쁜데 감성은 나름대로 풍부한) 사람에겐 애시당초 불가능하다. 피난민들의 행렬, 중공군의 인해전술, 몰살된 마을의 참혹한 모습..이런 말은 좀 거시기하지만 시체 하나하나에까지 들인 정성은 정말 놀랍기만 하다. 국사책의 한 줄 역사가 아니라 이건 정말 전!쟁!이었구나 싶어지는 것이, 갑자기 그 시기를 겪어 온 모든 어른들께 경외감까지 느껴지는 거다. (이쯤 되면 머리의 운동은 완전 멎는다)
하지만, 그 뿐이다. 같이 영화를 봤던 동생은, 주인공들이 인물이 좋으니 감정이입이 몇 배나 잘 된다고 했지만, 그래서 영화를 보고 나와서도 콧물 훌쩍이며 정말 잘 만들었다고 감탄했지만, 나는 초반부터 감정이입에 완전 실패하고 말아,(사실 별로 땡기지 않는 영화였는데, 공짜로 표가 생기는 바람에 그냥 봤던 것이므로 내내 좀 꼬여 있었다) 후반엔 전투 중에 형제가 서로 찾으러 댕기고 하는 장면에서는 왜 이렇게 길게 끄냐 싶으면서 몸이 마구 뒤틀렸다. 두 주인공의 연기도 사람들은 극찬을 하던데, 뭐..내 생각은 그렇다. 그런 영화에서는 누구나 그 정도는 할 거라고. 다만, 두 사람의 외형적 조건이 그 배역에 잘 어울리기는 했다. 해외 시장에서도 영화의 시각적 완성도와 함께, 저 정도 외모의 배우면 거 좀 먹히겠다 싶기도 하고.
아무튼 내 맘에 썩 들지는 않았지만 잘 만들어진 영화임에는 틀림없다. 게다가 이 영화는 삼대가 둘러 앉아, 그 시기를 겪었던 어른들의 생생한 증언과 함께 하면 더욱 좋을 영화다. 주인공 형제들의 얘기는 잊어도 좋다. 개봉영화가 해가 바뀌기도 전에 TV에 방영되는 요즘의 추세로 보건대, 내년 설쯤이면 온 가족이 둘러 앉아 TV에서 볼 수도 있겠다. 그 때가 되면 태극기는 펄럭이지 말고, 가족끼리 둘러 앉아 옛날 이야기하며 보면 딱 좋겠다. 단, 식사시간은 피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