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모더니즘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모더니즘 편 (반양장) - 미학의 눈으로 보는 아방가르드 시대의 예술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20세기 초반’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고 저자는 처음부터 밝히고 있었다. 하지만 ‘모더니즘’에 대한 시기 구분조차 모르는 내게, 20세기 초반의 예술의 유파, 운동, 용어들은 혼란 그 자체였다. 아니, 대부분 1차 세계 대전을 전후의 시기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 의아했을 정도이다. 아방가르드 시대의 예술은 바로 19세기 초반에 집중되고 있었고, 그 이후의 미술사는 세 번째 이야기를 예고하고 있었다. 아직 이해가 부족하지만, 내가 볼 수 있는 한에서 충분히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일단, 익히 한 번쯤을 들어봄직한 용어들-야수주의, 입체주의, 순수추상, 절대주의, 표현주의,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과 무척이나 생소한 용어-신즉물주의, 구축주의, 데스테일, 바우하우스-에 대한 호기심과 흥분으로 책에 대한 기대감에 들떴다. 지금껏 여러 번 예술 분야의 책을 접하면서 흔히 미술사조의 개념들을 몰라 애가 탔던 경험이 많다. 용어의 난해함으로 그저 그림 자체를 익혀 두는 것에 만족하게 하였다. 그러한 갈증에도 불구하고 애써 찾아보는 노력이 부족했던 내게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모더니즘 편>은 안성맞춤이었다. 여러 사조들의 나열 속 그 관계와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책을 가뿐하게 펼칠 수 있었다.

 

책을 읽다보니,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의 다양한 양태가 미술, 예술 분야에서 훨씬 급진적이고 활발하게 일어났다는 것을 새삼 알 수 있었다. 때론 혼란의 시기 그 자체처럼, 머릿속 역시 혼란스러웠지만, ‘미술’이란 것 또한 하나의 역사적 흐름으로 바라보게 되니, 무척 흥미진진했다. 작용과 반작용, 양극단의 대립과 융합 등등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면서 정말로 다양한 사조, 유파, 운동들이 뒤엉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 무척이나 신선하게 다가왔다. 특히, ‘부조리와 무의미의 예술’ 다다이즘과 ‘현실 속의 경이로움’ 초현실주의에 대해 비로소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다. 기존의 알고 있던 용어 속 그 의미와 그들이 생각을 읽다보니, 20세기로 시간 여행을 떠난 기분에 젖었다. 아직은 면밀하게 12개의 유파를 이해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예술이 아무리 예술 그 자체를 추구하려 발버둥을 쳐도 ‘인간’의 한계 안에 머물러 있다는 느낌, 어떤 이상의 추구에도 불구하고 12개의 여러 유파들이 어지럽게 뒤엉켜 흥했다가도 순간 사그라지는 것을 보니, 뭔지 모를 ‘희열’이 느껴졌다.

 

아직은 무척이나 희미한 불빛을 감지한 정도다. 어느 순간에는 그 빛조차 의문스럽고 혼란스럽다. 특히 ‘아방가르드’라는 용어는 ‘음~’하며 고개를 끄덕이다가도 한 순간 ‘뭐지?’ 하면서 물음표가 뒤따르며 아리송해진다. 여전히 문외한인 내게 버거울 정도로 학문적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마지막 장을 덮으며 뿌듯함이 자리하였다. 다만, ‘기분 좋은’ 숙제를 해야 할 듯하다. <서양미술사>의 ‘고전예술’편도 만나보고, 모더니즘 이후의 이야기도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보다 더 시급한 것은 좀 더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반복해서 읽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숙제들이 훨씬 풍성한 가을을 약속해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