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블레의 아이들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라블레의 아이들 - 천재들의 식탁
요모타 이누히코 지음, 양경미 옮김 / 빨간머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음식은 내게 있어, 일종의 약일 뿐이다. 건강을 위한 보조식품이나, 잘 먹고 잘 싸고 잘 자는 것이 건강의 기본이라, 그 기본에 충실하기 위함이 아니라, 뭔가 몸에서이상 신호를 느낀다 싶으면 머릿속에서 번개처럼 뭐가 먹고 싶다는 식으로 자동 프로그램이 되어있다. 오랜 자취 생활로 인한 차선이자 최선의 방편이랄까? 내겐 '음식이 몸에서 받는다'는 느낌이 좋은 음식의 첫조건일 뿐. 맛을 쫓지는 못한다. 한마디로 민탕맨탕인 듯한 혀를 삶을 위해 놀릴 뿐. 그렇다. 음식에 대한 기초지식 같은 것, 아니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래서일까? <라블레의 아이들>은 내겐 너무도 생소했고, 솔직히 버거웠다. 왠지, 허기진 배를 채워야겠다는 일념으로 홀로 식탁에 앉아 꾸역꾸역 물에 만 밥알을 넘기듯 눈물겹게 읽어내렸다. 

 

하지만, 무슨 뜬구름을 잡는 것처럼 음식을 쫓는 저자에게 무한한 박수를 보내고 싶을 뿐이다. 아닌 저자의 박식함과 진념에 주눅이 들었다고 해야 옳다. <라블레의 아이들> 속 천재들의 식탁을 엿보고, 그 수많은 음식을 재현하는 것 자체가 놀라웠다. 아니, 먹음직스러운 각각의 음식들을 보면서 원초적 본능에 이끌려, 자연스레 침을 삼키고, 정신의 허기와 육체의 허기 속에서 정신을 잃고 방황하면서도 길을 잃지 않으려 부단히 애썼다.

 

더욱 문제는 책이 소개하고 있는 많은 예술가들, 먹보 예술가, 천재라 일컫는 작가, 화가 등이 대부분 낯설고, 그들의 작품들 또한 생소한 것 일색이었다. 특히 <라블레의 아이들>이란 책이 무엇을 담고 있는 것인지 짐작조차 하지 못했다. 제목의 '라블레'가 누군인지조차 알 지 못했고, 표지의 그림도 선뜻 이해하지 못했다. 책장을 덮은 지금이야 살짝 눈에 들어오는 그림이지만 말이다. 그렇게 나는 철저히 무지 속에서 책을 들었다. 그리고, 다양한 예술가들을 만나고, 새로운 시도, 도전을 보았다. 미지의 요리가 눈앞에 있는 것이 아니라, 미지의 세계 그 자체였다.

 

다양한 이야기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면 바로, '다치하라 마사아키의 한국 풍 산채 요리'였다. '다치하라 마사아키'는 '김윤규'라는 재일 한국인 작가로, 음식은 기억이란 말로 시작하는 이야기는 일제치하 안동에서 태어나 자란 그는 일본으로 건너가. 다소 철저히 일본에 동화된 듯한 인상이었지만, 입맛만큼을 버릴 수 없었다는 것이었다. 다치하라 사후, 아내가 쓴 책 <다치하라 가의 식탁>속 우리내 식탁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저자의 표현을 빌려, 소개되는 음식들이 조선의 음식에 대한 기억들이 투영되어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름과 경력은 어느 정도는 위장이 가능할지 모르지만 어린 시절에 형성된 혀를 통한 맛은 감출 수 없다."라고 이야기하며, 몇 가지 다른 음식들을 더 소개하고 있었다. 그외 많은 이야기들 역시 음식 또한 추억으로 이끄는 타임머신이자, 자신의 정체성을 확연하게 드러낼 수 있는 기본 축임을 알 수 있었다. 

 

세계적인 예술가들이 남긴 레시피를 실제로 재현하고 시식을 한 후 그 감상을 글로 엮은 <레블레의 아이들>은 정말 흥미로운 기획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관심의 부재와 무지로 인해, 있는 그대로의 음식 이야기, 그 속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들을 제대로 느껴보지 못한 아쉬움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