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북촌에서>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서울, 북촌에서 - 골목길에서 만난 삶, 사람
김유경 지음, 하지권 사진 / 민음인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서울은 무엇인가에 쫓기듯, 그렇게 스치기만 하는 창문 밖 너머의 세상이었다. 그런 서울에 다양한 매력을 느끼게 된 계기는 서울을 담은 다양한 책들을 접하면서, 조금씩 여유있는 서울 나들이를 하고 나서부터다. 서울의 번잡함만큼, 그냥 지하세계를 통해 바삐 다닌 것 말곤 서울은 그다지 여행지로서 동경의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다 얼마전, 탁 트인 광화문광장을 보고 난 후(노을빛마저 상큼함으로 다가오며 진한 감동에 잠시 정신이 멍할 정도였다.), 기존 서울에 대한 이미지가 완전히 바뀌기 시작하였다. 내가 알지 못하는 서울의 다양한 모습, 특히 살아 숨쉬는 고풍스런 모습에 매료되었다고 할까? 이방인이 된 듯한 이질감에 참으로 낯선 서울이 점점 호기심과 설렘으로 가득 차오른다. 그런데 문제는 여전히 순간 사진(스냅사진)마냥 뜨믄뜨믄 연결고리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공간과 공간이 이리저리 뛰어다니듯, 이번에 만난 <서울, 북촌에서>도 역시 너무도 다채로운 서울의 모습, 아니 북촌의 모습에 순간 당혹스럽기도 하였다.
<골목길에서 만난 삶, 사람 서울, 북촌에서>는 한옥마을로 상징되는 북촌의 모습에 국한하지 않는다. 지금껏 아직 북촌을 가 본 적이 없어 뭐라 섣불리 말하기가 조심스럽지만, <서울, 북촌에서>는 '북촌하면 한옥'이란 획일화된 등식을 거부하고 있다는 강한 인상을 받았다. 물론 900여채의 한옥마을의 진풍경을 빼놓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지만, 진정 20여년의 취재, 5여 년간의 저술이 보여주듯,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면서 변화무쌍한 북촌의 모습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또한 켜켜이 쌓인 북촌의 역사를 낱낱이 해부하며, 그 곳에서 역사와 문화의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어, 자본과 개발에 짓눌린 우리의 자화상을 보는 듯, 씁쓸함마저 느끼며, 있는 그대로의 북촌을 볼 수 있었다.
한옥으로 상징되는 전통이란 것이 솔직히 퇴색된 상태였다. 즉 북촌의 한옥마을이 1930년대 이후 지어진 개량한옥으로서, 지금의 부동산 투기처럼 살짝 부정적으로 생각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또다른 의미-그것은 바로 제 2차 물산 장려 운동(1929~1932)이 시작될 때, 초가집이 아닌 기와집을 지어 구식한옥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기와 수도 시설을 갖춤으로 '주택으로 물산 장려를 한 것이다'라는 것이다. -로 해석된 한옥마을이 남다르게 느껴졌다. 삶의 휴식처로서의 북촌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특히, 세검정 일대의 이야기는 안평(무이정사, 무계정사)과 몽유도원도, 세초연 등의 역사의 흔적을 뒤쫓으며, <몽유도원>이란 책의 배경을 형상화하면서 머릿속은 자유롭게 노니는 추억의 사진을 꺼낸 듯, 흥분에 들뜨기도 하였다.
<서울, 북촌에서>를 통해, 한옥 동네의 북촌, 예술과 전통이 살아 숨쉬는 북촌, 근현대사의 숨은 권력의 상징인 북촌을 만날 수 있었다. 기존의 북촌이 사방팔방으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북촌의 모습을 선보이고 있었다. 더욱 가까워지는 북촌, 서울을 만날 수 있어, 행복한 서울나들이를 한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또한 서울이 자꾸만 손짓하며 우리를 부르고 있음을 느낀다. 이 강한 끌림, 또다른 북촌 이야기 <북촌탐닉>에 대한 기대와 설렘으로 달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