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폰, 잔폰, 짬뽕>을 읽고 리뷰해주세요.
차폰 잔폰 짬뽕 -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역사와 현재
주영하 지음 / 사계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차폰 잔폰 짬뽕'이란 제목에서 짬뽕만을 읽을 수 있었다. 솔직히, 차폰, 잔폰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선뜻 알지 못했다. 붉은 색의 대접과 세가지 색깔의 젓가락! 그리고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역사와 현재라는 제목으로 충분히 유추해 볼 일, 하지만 책을 읽기 전까지 감조차 잡지 못했다. 동아시아, 그중에서도 우리나라,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음식 문화를 비교 연구하면서, 음식 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을 시도한다는 소개가 호기심을 끌었다.

저자 '주영하'는 문화인류학을 전공한 인문학자이다. 그런 그가 20여 년 간 '음식'을 한 주제로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간의 노고가 <차폰, 잔폰, 짬뽕>속에 담겨 있다. 모두 10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는데, 7편은 월간지 신동아에 실린 글과 '한중일 음식의 문화인류학'이란 제목으로 실린 칼럼을 재구성한 것이다. 중국의 차폰과 일본의 잔폰 그리고 한국의 짬뽕에서 볼 수 있듯이 닮은 듯 다른 음식을 통해 각 나라의 역사, 문화, 정치적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차폰 잔폰 짬뽕>은 인문학자의 눈을 통해 음식 문화를 엿보는 것이 신선하였다. 그런데 그 어떤 이야기보다 귀에 쏙쏙 들어온다. '음식'안에 담긴 역사적, 사회 문화적 요소, 그리고 많은 참고 자료들을 통해 더욱 흥미를 더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상식을 무너뜨리는 충격적인 음식 이야기라고 할까? 당연히 그러하리라 생각했던 것, 그것은 '상식'이라 과대포장된 '무지'였을 뿐이었다. 또한 음식 문화에 녹아있는 역사(식민지의 경험, 전쟁)를 통해 '전통의 단절'을 다시 한 번 경험하였다. 더불어, 경제 발전의 기치 아래 획일화된 우리의 입맛(국가에 의해 통제되는 입맛!)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었다. 특히, '아마미 군도' 사탕수수의 재배 역사를 통해 '오키나와'의 역사를 다시 한 번 엿보면서, 다양성(생물, 종다영성)의 결여가 나은 병폐의 심각성을 음식을 통해 엿볼 수 있었다.

 

단순히 동아시아의 음식 문화를 비교한 것에 그치지 않는다. 현재의 모습을 통해 미래의 음식 문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어, 더욱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중국 내 사라지는 소수민족의 음식, 제주도 음식과 일본의 '가고시마 이모쇼추'를 통해 국가주의(국민 음식)이 포섭된 로컬푸드 이야기와 '로컬푸드 시스템'의 복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식량자급률이 20%대로 하락하는 현실(이와 대조적으로 일본은 40%대까지 끌어올렸다는 것) 속에서 지역사회 내 자급자족을 위한 생산 시스템의 구축과 그 재료를 이용한 지역 음식의 창조만이 진정한 한국 음식의 미래라는것, '한식의 세계화'보다 앞서 좀 더 건강에 유익한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독자적, 자생적 시스템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었다.

 

<차폰 잔폰 짬뽕>을 통해. 동아시아의 음식을 통해 역사, 문화를 읽는 것도 흥미롭고(역사적 경험에서 나온 입맛이고 음식이다, 228쪽), 음식을 통해 정치적 음모(?)를 알게 되는 등, '음식'이란 것에 새로운 시각을 덧붙이는 색다른 경험이었다. 그리고 '음식'이 주권과 인권의 영역까지 확대되면서 세계화 속에서 획일화의 심각성을 확인하였으며, 바르고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자구적 노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유익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