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을의 눈물 - 한국 사회의 갑질 보고서
이철환 지음 / 새빛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책을 받자마자 표지를 넘겼는데, 저자의 얼굴과 연혁이 보였다. 공직생활 30년, 이 책은 어떤 방향으로 쓰여졌을까? 그리고 요즘은 찾아볼 수 없는 저자의 사진이 증명사진처럼 박혀 있었단. 순간 조금 선입견을 가지고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도대체 갑질이 뭐야?]를 시작으로 한국사회의 갑질에 대해서 거의 모든 종류를 설명하고 있다. 각종 통계, 사회적 이슈가 적절히 잘 섞여 있다. 갑질이 생긴 이유에 대해서 다양하게 분석하고 있다. 뿌리내리지 못한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비뚤어진 경쟁신과 엘리트 집단의 탐욕,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재벌 경영체제, 돈이면 다 된다는 졸부근성, 연공서열 위주의 조직문화, 인성을 무시한 스펙 위주의 교육, 왜곡된 여성관과 외모지상주의
p.51
그러나 권위와 귄위주의는 엄연히 구분되어야 한다.
권위는 그 가치의 우위성을 공인시키는 능력을 말한다고 한다. 권위 자체는 부정적이지 않지만 권위주의는 자신의 권위를 이용하여 어떠한 행동을 하려는 성향을 의미하고, 그 행동이라는 건 갑질일 확률이 많다는 거다.
p.63
열심히 일해서 차도 사고, 집도 사고, 저축도 하고, 결혼하고 이렇게 노동의 대가로 무언가가 주어지는 것, 이게 건전한 자본주의다.
너무 당연한 말인데, 왜 요즘은 이렇게 되기가 어려운 걸까? 이 문장을 읽고 씁쓸한 생각이 들었다. 직장에 들어가, 아니 직장에 들어가기 부터 힘들다. 직장에 들어가도 저축을 하기가 힘들고, 단계를 하나씩 밟아 나가기가 힘들다.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p.69
둘째, 과도한 교육열과 함께 진학 및 취업 위주의 교육방식이 아이들의 인성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대학을 가기 위해 공부하는 곳으로, 대학은 취업을 하기 위해 공부하는 곳으로 이 16년이라는 시간을 경쟁과 서열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그렇게 아이들의 인성을 해치고 있다고. 모르겠다. 사실 4살 딸 아이의 교육에 대해서 아직은 크게 고민하고 있지 않지만 이 사회가 바뀌지 않는다면 나는 어떤 길을 가야 할까? 그리고 이 사회를 바꾸기 위해 나는 어떤 노력을 해야할까?
정치인, 공직자, 법조인, 언론인, 재벌과 금융기관, 프랜차이즈 본부, 노조 간부, 대학교수와 교사, 의사와 간호사, 문화예술인, 체육계 지도자, 블랙컨슈머와 맘카페에 대한 갑질을 설명하고 있다. 내가 생각했던 종류의 갑질이 다 이 책에 나오고 있다. 이슈가 되는 기사를 통해 책을 읽는 사람이 쉽게 이해되고,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잘 쓰여 있다.
그 갑질을 통해 흙수저, N포세대, 무주택자, 비정규직, 자영업자와 가맹점, 독거노인, 독박육아, 장애아, 다문화 등의 사회현상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이 부분을 읽고 있자면 정말 우리나라의 현실이 너무 우울하다고 느껴진다. 하지만 이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사회현상에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래서 좀 더 나은 세상을 향해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를 마지막으로 이 책은 끝이 난다. 10개의 방법을 제시한다. 어떻게 보면 모호하고 어떻게 보면 맞는 말인데, 누가 이 복잡한 사회 문제에 정확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까? 내가 10개의 방법 중 눈여겨 본 건 교육개혁과 의식개혁이다. 공동선을 향한 창의인성 교육 그리고 나눔과 배려정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상적으로 생각하면 당연히 이런 것들이 필요하지만 우리도 사회에 들어가게 되면 경쟁 위주의 교육을 시키고, 자신만 챙기고, 다른 사람의 아픔에는 눈을 감아버리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하고, 연대를 해야한다. 내 아이에게도 나는 저자가 말한 나눔과 배려정신을 가질 수 있길 바란다. 이 바램이 변하지 않기도 말이다.
정말 보고서처럼 쓰여져 있는 책이다. 여러 모로 활용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단순히 독서도 가능하고, 이와 관련된 보고서를 쓸 때 인용도 가능하고,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이 책을 가지고 토론도 가능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