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은 잠들다
미야베 미유키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는 그 어떤 학설이나 과학적 논리로도 설명하기 쉽지 않은 불가사의한 일들이 종종 일어나곤 한다. 단적인 예로, 자신의 아이가 자동차에 깔려 고통스러워 하는 것을 본 어머니가 순간적으로 초인적인 괴력을 발휘하여 혼자서 자동차를 번쩍 들었다던가 하는 것들이 그것이다. ''에이, 설마!''라고 믿지 않는 사람들이 다수이겠지만 중요한 것은 그 상황을 지켜본 소수의 사람들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 사람들은 점점 현상으로 받아들이게 되고, 그런 상황의 발생근거를 급박한 상황에서 발휘되는 인간의 숨겨진 힘쯤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흔히 일어나는 보편적인 상황이 아니므로 사람들에게 초자연적인 신비함으로 무장되어 경외심을 일으키기도 한다. 짐작건대 이 단계에서는 그 ''사건''이 이슈가 될 수는 있어도 그리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사람들이 꺼려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야말로 ''어쩌다 한번 있는 신비한 일''일테니까. 그러나 만약 그와 같은 힘 -이를테면 초능력 같은- 을 수시로, 그것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사람을 본다면? 모르긴 몰라도 평범한 일상을 살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를 두려워하거나 비정상으로 인식, 가까이 가는 것조차 꺼려할 것이다. 자신에게 그런 능력이 있었으면, 하고 장난처럼 말하는 것과 정말로 그런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그렇다면 뒤집어서 초능력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가령, 자신이 원하지도 않았는데 남의 생각이 들려온다, 마음속으로 어떤 생각을 품고 있는지 당사자가 입 밖으로 내지 않아도 알 수가 있다, 어떤 사물에 손을 얹으면 그 사물을 거쳐간 수많은 기억들이 제 머리로 흘러들어온다고 생각해 보자. 얼핏 이것은 굉장한 축복처럼 여겨질지도 모르겠다. 신이 된 듯한 착각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렇게 좋기만 한 것일까? 책 속의 한 예를 들어보겠다. 어느 쇼핑점 계산대 앞에서 내 뒤에 서 있는 여자가 시종일관 ''시어머니를 어떻게 죽일까''하고 궁리하는 걸 알게 된다면. 혹은 공원을 거닐다 벤치에 잠깐 앉았는데 그곳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던 것을 느끼게 된다면. 이것은 차라리 아무것도 모르는 것보다 훨씬 고통스럽고 잔혹한 일이 될 것이다. 그런 말을 누구한테 한다고 해서 사람들이 믿어줄 리도 없거니와 쉽게 이야기 할 수도 없다. 정신병자 취급이나 안 받으면 다행이다. 더욱이 자신이 그 능력을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더 끔찍한 일이 되고 만다.
폭풍우 치는 밤의 어린이 실종사건으로부터 시작되는 <용은 잠들다>는 앞서 장황하게 얘기한 초능력자(사이킥, Psychic)의 이야기를 다루는 미스터리 물이다. 눈치 챘을지 모르겠지만 어린이 실종사건은 기실 이 이야기를 시작하는 소도구일 뿐, 사실은 더욱 복잡한 스토리가 쉴 새 없이 이어진다. 정황상 누군가가 뚜껑을 열어놓은 맨홀에 빠진 것이 분명한 이 사건은 다행인지 불행인지 남다른 능력을 가진 한 소년과 화자인 잡지기자가 개입되면서 독자는 일찌감치 범인(?)을 알게 된다. 그렇다면 속이 후련해야 정상이건만 그것도 잠시,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맘 속 한켠이 묵직해짐을 경험하게 된다. 단언컨대 그것을 감지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독자는 본격적으로 ''미야베 미유키''의 세계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용은 잠들다>는 그녀의 전작 -물론 우리나라에 한함- 인 <화차>와 <이유>보다 훨씬 앞서서 출간된 책으로 <이유>와는 무려 7년여의 텀이 있다. 어쨌거나 우리나라에서는 그녀의 최근작이 먼저 출간된 탓에 <화차>와 <이유>를 먼저 읽었는데, 그때문에 난 그녀가 사회파 미스터리에만 정통한 작가인 줄 알았다. 이런 나의 생각을 비웃기라도 하는듯 최근에 출간된 이 책은 그녀의 또 다른 면모를 엿볼 수 있게 해 주었다. 작품 자체로만 보면 앞서 얘기한 두 작품보다 조금 약한 듯 하긴 해도, 풋풋함과 따스함이 책 한가득 채우고 있어 읽는 이에게 충분히 만족감을 선사한다. 게다가 놀라운 것은 이미 이 때부터 그녀의 매력적인 필력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간 군상은 나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는데, 구체적으로 얘기하자면 인간 심리와 내면에 관한 것들이다. 특히 사에코가 그리는 ''청사진''에 관한 에피소드는 왠지 모르게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물론 행복한 삶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므로 그게 나쁘다는건 아니지만, 한 인간의 맹목적인 목표의식(?)이 무섭게 느껴졌음을 부인할 생각도 없다. (왜 나는 이 부분에서 <화차>의 신조 교코가 생각난 것일까) 여하튼 미야베 미유키가 보여주는 인간에 대한 통찰력이 새삼 놀라워 ''역시 미야베 미유키!'' 라는 말이 또 한번 튀어나오는 책이었다.
화자인 ''고사카 쇼고''는 서두에서, 자신은 방관자적인 입장에 있던 인간이라고 말했지만 그의 눈을 통해서 본 두 소년의 이갸기는 독자의 가슴을 적시기에 충분했다고 믿는다. 고사카의 마지막 말처럼 내 안의 용이 아직 자고 있는지, 꿈틀대며 움직이고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부디, 부디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게, 무서운 재앙이 내리는 일이 없게 나를 지켜달라고 기도하련다. 그리고 잠에서 깬 용과 함께 살다간 한 소년과 남아있는 한 소년을 오래도록 기억하련다. 이것 역시 그가 말하는 방관자로서의 의무일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