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의 역사와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 ㅣ 과학과 사회 1
피에르 주아네베로니크 나움 그라프 외 13인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요즘 들어 저출산 문제가 상당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것이다. 결혼 적령기도 늦춰지고 있고, 여러가지 면에서 과거와는 상당히 다른 생활 양상을 띄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바로 결혼과 성, 그리고 출산으로 이어지는 이 문제는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는 드러내놓고 말하기 꺼려하는 하나의 금기시 되고 있는 사항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일까, 20대 중반인 나 역시 아직 한번도 성이나 출산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고민해본 적도, 생각해본 적도 없다.
그러던 와중에 만나게 된 알마의 과학과 사회 시리즈 <성의 역사와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은 내게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준 책이다. 책의 제목을 떠올려본다면 혹 야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는 이도 있게지만, 이책은 그런 것이 아니라, 인문학자는 혹은 과학자는 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냐는 하나의 학문적 측면에서 접근할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총 4장의 카테고리로 출산의 역사, 문화와 사회, 상상속의 혈통,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과 부모가 되고 싶은 욕망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콜레주 드 라 시테'라는 컴퍼런스에서 발표된 내용을 텍스트로 옮긴 만큼 길지 않으면서도 상당히 주제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는 물론 본질적인 접근을 통해서 우리가 생각지 못했던 성의 역사와 출산이라는 하나의 문제에 대해 접근하고 있다.
성행위와 관련된 잘못된 사회적 통념 몇가지를 비판하면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우리의 성이 어떤 역사를 거쳐왔고, 또 앞으로는 어떻게 흘러 갈것이며 왜 인간이 아이를 갖고 싶어하는지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과거 그리스 시대부터 우리 인간의 성은 사랑과 쾌락은 출산과 분리 되어 여겨져왔고, 과거 교회의 성생활 문제 개입은 물론 아버지를 적대시했던 것, 의학적, 사회적 의지적 측면에서도 성은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 진단 하고 있다. 인공수정, 불임, 그리고 현대의 새로운 다부모의 체제, 물질 문명속에서 펼쳐질 산업화 된 생식과 성적 정체성의 모호함까지 정말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어서 단순이 성이라는 것이 결혼을 통해 아이를 낳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될것이다.
상당히 내용이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고, 내가 한번도 진지하게 고민해보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어 조금 버거웠던 감이 없지 않아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방면에서 우리들의 성과 욕망에 대한 접근을 하고 있어 그것들에 대해서 고민해보지 않을수 없게끔 만들고 있다. 책에 의한 수동적 의미 전달이 아니라,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스스로 생각할수 밖에 없게 만드는 책인 것같다. 그래서 일까~ 앞으로 나올 알마의 과학과 사회시리즈가 상당히 많이 기대된다. 물론 나의 지적 능력이 떨어져서 상당히 어려울수도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인문학적인 관점, 자연과학적인 관점에서 요즘 우리 사회에 대두되고 있는 주제를 접근 할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큰 성과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