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옌롄커 지음, 문현선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옌렌커의 책은 뭐랄까, 묵직하면서도 읽어내려가는 것도 쉽지 않았고, 리뷰를 쓰는 것은 더 쉽지 않았다. 어떻게 리뷰를 써야할까 밀려오는 그 막막함에 겨우 글을 써내려 간다. 분명히 그의 글은 읽어 볼 만한 가치고 있고, 또 그의 글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사서는 4권의 책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라 칭해지는 이가 쓴 <죄인록>과 <옛길>, 구술에 의해 쓰여졌다는 <하늘의 아이>, 학자가 쓴 <시시포스신화>까지. 4권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면서 우리를 중국의 암울했던,인간의 존엄성조차 무시되어진 그 시대로 이끌고 있었다.  

 

우선 사서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먼저 알고 있다면 이 책을 이해하는 것이 조금은 더 쉬워질지도 모른다.  중국 문화대혁명에 반기를 드는 소설로, 중국내 출판이 금지되고 한국에서 최초로 출간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문화대혁명은 마오쩌둥이 공산당 내부의 적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계급투쟁을 벌였던 운동으로, 단숨에 중국을 경직된 사회로, 개인이 아닌 사회만이 존재하는 곳으로 만들고 말았다. 

 

중국 황허강의 주변의 황량한 땅에 자리 잡은 강제 수용소 99구가 이 책의 배경이다. 종교인, 교수, 예술가, 작가, 과학자 등 당대의 지식인들을 한 곳에 모아놓고 그들의 불순한 사상을 교화한다는 목적 아래, 인간 이하의 삶을 살아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는 이름도 없다. 그들은 단지 자신의 직업에 의해서 불리울 뿐이다. 그들은 관리하는 이는 공산당원인 '아이'다.

 

아이는 99구에 모인 이들에게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붉은 종이꽃 125개를 모으라고 한다. 바로 <홍화오성제>라 불리는 것으로,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고, 밀고를 할 때 하나씩 주어진다. 불순한 행동을 하거나, 금지된 책을 보고 있고 혹은 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때 아이에게 밀고를 하면 한 장씩 얻을 수 있는 종이꽃. 그 종이꽃은 집으로 갈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동시에 자신을 위해 남을 짖밟을수 없는 참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부로부터 명령을 받고 99구의 다른이들을 밀고하기 위해 <죄인록>을 적어내려가며, 그걸 적기 위해 받은 잉크를 빼돌려 나중에 자신만의 책을 출간하기 위해 99구의 실상을 담은 소설 <옛길>을 완성해가는 작가. 유일하게 주어진 명령에게 반기를 드는 학자. 그리고 그가 완성하지 못한 소설 <시시포스신화>까지. 인간의 잔혹함을, 감춰진 추악함을 이 소설은 그 밑바닥 까지 보여주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갈수록 심해지는 상부의 감당할수 없는 수확량과 명령들, 그들은 자신만이라도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 서로를 감시하고, 서로를 밀고한다. 강철을 얻기위해서 뗄감을 모아 불을 지피고, 나중에는 그 뗄감으로 쓰인 나무로 인해 홍수와 기근에 시달리는데, 인육을 먹기까지 하는 모습은 정말 잔혹했다. 어쩌면 국가는 그들에게 무조건적인 복종을 바란 건지도 모른다. 그래도 그들은 지식인이었는데..... 남들이야 어떻게든 나만 자유를 누릴 수 있다면, 나만 살아남을 수 있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다는 것을 끝까지 이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그들이 그토록 누리고 싶어했던 자유. 아이의 희생 앞에 자신들은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음에도 먼저 자유를 누리던 연구원들이 다시 99구로 돌아오는 모습을 통해서 작가가 말하려던 건 무엇일까? 결국 자유를 찾아 떠났지만. 어쩌면 자신들이 머물렀던 99구가 더 편했다는 것일까? 이건 참 모순이다. 피폐해진 인민들의 삶 속에서 그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었을까? 아니 정말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 삶일까? 추악한 모습을 다 보여줘 놓고, 다시 돌아간다는 건 나로서는 이해할수 없는 아이러니인 동시에 뭐랄까, 뭔가 가슴이 턱턱 막히는 느낌이었다. 아마 그들이 꿈꾸던 세상 역시 힘들기는 마찬가지였고, 어쩌면 그들이 생활했던 99구가 더 나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억압과 고통 속에서 순응하고 적응하는 존재일지 모른다. 하지만 그 순응과 적응 속에서도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려고 하는 '학자'와 같은 이들이 많지 않을까? 학자와 같은 이들이 많다고 믿자. 그래야 세상이 조금은 더 아름다워 보일 것같다. 중국의 문화대혁명을 완전히 이해하긴 어렵지만, 옌렌커의 작품을 통해서 극한 속에서의 인간의 본성을 바라본 듯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