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이한 책장수 조신선 징검다리 역사책 2
정창권 지음, 김도연 그림 / 사계절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우리는 책을 아주 쉽게 구한다. 보고 싶은 책이 있으면  집에서 인터넷으로 금방 원하는 책을 주문해서 바로 받아 볼수 있기 때문인데, 굳이 어떤 책이 어디 있더라 수소문 하지않아도 되고, 굳이  발품을 팔아도 되지 않는다. 그래서 책의 소중함을 모르는 것일까? 설마 그러기야 하겠어!  조금 더 쉽게 책을 접할 수 있으나 좀 더 책을 많이 볼수 있는 게 아닐까? 사실 나는 집이 시골이라서 쉽게 서점이나 도서관을 접할 수가 없어서 인터넷 서점이 생긴 이후로 책을 더 많이 접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에는 사람들이 원하는 책을 어떻게 얻었고, 또 그 책들은 어떻게 제작 유통되었던 것일까?

요즘 처럼,  인쇄 기술이 발달 한 것도 아니고, 통신망이 발달해서 어디에 누가 무슨 책을 갖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수도 없을텐데 말이다.  그 질문에 대답을 해줄 책! 아이들의 눈 높이에 맞춰서 조선 시대의 책이 어땠는지 알려주는 책, 사계절의 징검다리 역사책 시리즈 2권, <기이한 책장수 조신선>이다.

 

보기에도 풍채가 우람하고, 옷섶 여기저기 책을 넣은 품새가 책장수 답다고나 할까? 때는 조선 후기, 한양에 유명한 책장수 조생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를 조신선이라고 불렀는데 항상 뛰어다니면서 좋은 책들을 구입해서 책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구해다 주는 것이,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꼭 필요한 사람이었다.

 

하루는 광통교를 지나다가 한 아이와 부딪치게 되는게 바로 추재라는 아이였다. 부유한 평민의 자식으로 조신선의 단골 손님의 자식이었는데, 꼬마 문필가로 나중에는 조생의 이야기를 담은 <육서 조생전>을 쓰게 된다.

 

조생과 추재는 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추적해가는데, 우리는 이 책 한권에서 조선의 책의 모든 것에 대해서 알게 된다. 하물며, 책에는 한양의 문화 중심지 광통교, 인쇄 기술과 책의 발달 과정, 책을 엮는 법, 금속활자, 규방여인들의 책읽기, 조선의 학교, 방각본등등 다양한 이야기를 따로 싣고 있어 책을 읽는 내내 소소한 즐거움 들이 있다.

 

책만 보는 간서치들의 등장은 물론이고, 중국서적들이 유행했으며, 그와 함께 금서로 지정된 책들이 유통되고 결국은 국가에서 그 책들의 유통을 금하고자 책장수들을 잡아들이는 일까지 일어나게 되는데, 읽는 내내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라 그런지 더 실감 났다.  국립출판사 교서관, 종이공장 조지서는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되었는데, 우리가 알지 못하는 조선시대의 책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이 책 한권으로 알수 있을것같다.

 

다양한 삽화와 함께 아이들 눈 높이에 맞춘 이야기, 거기다 실존인물인 추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만큼 역사적 사실에 바탕으로 두었기에 더 믿을 수 있는 책, 단순한 책장수 조신선의 이야기가 아니라, 과거에는 한권의 책이 탄생하고, 한권의 책이 유통되기까지 얼마나 힘이 들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만큼 아이들이 책을 좀더 소중하게 여기게 되지 않을까 싶다. 조선의 책이 궁금하다면! 500원?! 설마~ 기이한 책장수 조신선을 펼쳐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