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반양장) 보름달문고 44
김려령 지음, 장경혜 그림 / 문학동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유아인 주연으로 제작되고 있다는 완득이의 작가, 김려령의 신작이다. 김려령이라는 이름 앞에 나도 모르게 들게 된 책이지만,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 아니,정말 읽어보라고 추천해주고싶다. 문학동네 청소년문학상대상작 <불량가족레시피>보다 더 추천해주고 싶다. 물론 개인적 취향일지 모르지만, 나는 이런 가슴 따뜻하고, 실제로 있을 법한 이야기들이 참 좋다.

 



정말 어딘가에 건널목씨가 살고 있고, 어딘가에 태희, 태석이와 도희가 살고만 있을 것 같은 느낌이다. 이야기는 문밖동네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등단한 필명 오명랑 작가가 이야기듣기 교실을 여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야기 듣기 교실, 듣도 보도 못한 생소한 곳이 아닐까? 나는 여태 이런 학원이 있다는 것은 들어보지 못했는데. 다른 분들은 들어보셨나요? 물론, 최근 경청의 중요성이 대두 되고있다는 것은 분명하고, 김려령 작가가 요즘 아이들이 남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는 것에서 착안해서 이야기 듣기 교실을 등장시켰는지는 모르겠지만, 덕분에 이야기를 듣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또 깨닫게 된다.

 



작가로 등단한지 몇 년이 지나도 제대로 된 작품을 쓰기는 커녕 빈둥빈둥 놀기만 하자, 주변에 가족들이 일을 시작하라고 해서 오명랑 작가가 시작한 것이 이야기듣기교실이다. 이야기듣기교실이 뭔가 싶어서 문의 전화도 오곤하지만 정작 등록한 아이들은 달랑 3명, 그것도 한달간 공짜라는 말에 등록했음이 틀림이 없었다. 물론, 영어학원대신에 이야기듣기 교실을 선택하기도 하고, 나중에 작가가 되기 위해서 왔다고는 하지만, 처음 아이들은 이야기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일뿐이다.

 



이 세상 어느 책에도 나오지 않은 단 하나뿐인 이야기, 건널목씨의 이야기를 해주는데, 건널목씨라는 말을 듣고는 나도 처음에는 지어낸 이야긴지, 실제 이야긴지 구분이 가지 않았다. 하지만 건널목씨가 아리랑 아파트 아이들을 위해서 아침에 카페트 건널목을 만들어 길을 건너게 해주고, 교통정리를 해나가면서 다른 이웃들의 호감을 사고, 진정성을 보여줌으로써 건널목씨에게 마음을 열게 되기 시작했다. 정말 자기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인을 위한 배려를 할줄 아는 건널목씨. 건널목씨가 이 세상 어딘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세상이 더 밝아보인다. 아니, 지금도 그런 건널목씨가 보이지 않는 어느 곳에 살고 있다고 믿고 싶다.

 



쌍둥이 형제의 깡패 사건으로 아리랑 아파트 경비실에서 살게 된 건널목씨. 그러면서 부부싸움으로 경찰을 부르기까지 하는 도희네를 알게 되고, 자신의 화장실로 피난을 오는 도희와 친해진다.

 



건널목씨가 아리랑 아파트 앞에서 건널목을 만들기(?) 시작한데에는 가슴 아픈 사연이 있었다. 바로 자신의 아이들이들을 교통사고로 잃었기 때문인데, 전국 방방곡곡을 돌며, 건널목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 건널목을 빨리 설치해달라는 항의조로 카페트 건널목을 만든다고 한다. 아리랑 아파트의 쌍둥이 형제를 보며 자신의 아이를 떠올렸다고 한다. 아직 부모의 마음을 내가 알지는 못하지만, 건널목씨가 얼마나 가슴이 아팠고, 그렇기에 다른 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신경쓰고 있는지 잘 알것만 같다. 건널목씨가 도희에게 안식처가 되어주, 태석이와 태희의 안전막이 되어주었다는 것에 나는 정말 아직 세상이 살만하구나 하고 느낄 있었다. 태석이와 태희는 아버지가 위암으로 돌아가시고, 어머니는 집을 나가 돌봐줄 사람이 없는 11살, 7살의 아이들이었다. 태석이 아버지가 건널목씨에게 고물상을 소개시켜줘 알게되었는데, 태석이 아버지가 돌아가시고도 아무런 연고도, 아무런 친분도 없었음에도 아이들에게 반찬거리를 사다주고, 기름을 넣어주고 신경을 써주고 있었다.

 



정말 부모님 두분이 모두 계시지 않았을 때, 어린 아이들이 느꼈을 그 불안감과 그 슬픔을 어떻게 표현하겠는가, 건널목씨가 없었더라면 태석이와 태희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건널목씨와 함께 태석, 태희를 찾은 도희는 엄마가 없다고 놀림받는 아이들에게 사촌누나 행세를 하며 아이들을 감싸주고, 친구가 없는 아이들에게 친구가 되어준다. 그러다 부모님이 시골 집으로 가면서 헤어지게 되는데.... 아이들에게 도희와의 헤어짐은 또 다른 슬픔이고, 아픔이었을 것이다. 그런 아이들에게 건널목씨가 있어 다행이었다. 어느 날 집을 나간 엄마가 돌아온다.엄마가 돌아옴과 동시에 건널목씨는 아이들 곁을 떠나게 된다. 건널목씨가 떠났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아이들은 눈물을 흘리게 되는데, 그 눈물의 의미를 어렴풋이 알것만 같다.

 



엄마가 돌아와도 자기는 집나간 엄마가 다시 돌아온 아이일 뿐이라고, 달라질건 없다고 자조적으로 내뱉는 태희를 보면서 너무나도 가슴이 아팠다. 어른들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하는 것들이 어린 아이들에겐 얼마나 큰 슬픔이 될수 있는데, 그것이 커서도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수 있는데.....

 



엄마가 돌아오고 나서 태희, 태석이 내뱉는 말들 한마디 한마디가 너무 가슴이 아팠다. 아무렇지 않게 태희가 내뱉는 말들, 그 말들에 엄마 역시 상처받았겠지만 나는 태희가 더 아파하는 것같아서 너무 슬펐다.

 



오명랑 작가가 들려주는 건널목씨 이야기. 이건 바로 오명랑 작가의 이야기였다. 건널목씨 이야기를 통해서 엄마와 응어리 진것을 풀어버리고 싶었고,오명랑 작가는 털어내버리고 싶었던 것이다. 족히 20년은 더된 자신의 마음의 짐을 말이다.

 



책을 읽는 내내 이야기듣기교실은 뒷전이고, 건널목씨 이야기가 진짜 일까? 정말이라면 너무 가슴 아프다, 소설은 있을 법한 이야기를 다루는 거니깐 당연히 지어낸 이야기겠지? 이러면서 책을 내려 놓지 못하겠다.

 



김려령, 정말 다시한번 그녀의 저력을 확인했다. 어쩌면 이렇게 가슴 아프고, 정말 아련한 이야기를 아무렇지 않게 내뱉을 수가 있을까, 어떻게 이야기를 생각해냈을까, 잔잔한 감동이 밀려오는 책, 그러면서 가슴이 너무 따뜻해지는 책이다. 완득이를 재미있게 읽었다면 분명히 이책도 재미 있게 읽을것이다. 꼭 한번 읽어봤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