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북촌에서 - 골목길에서 만난 삶, 사람
김유경 지음, 하지권 사진 / 민음인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요즘 내가 알기로 북촌에 관한 책이 꽤나 많이 나오고 있는 것같다. 그중에서 선택한 책! <서울, 북촌에서>는 저자가 20년을 걸려 준비한 책이라고 한다. 한옥에 관한 책을 몇몇권 읽었던 것같은데 지금 기억에 남는 것은 <율이네집>이라는 책뿐이다. 한옥을 개조해 살고 있는 세명의 가족의 이야기는 나로 하여금 우리의 한옥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그리고 그 한옥이 주던 포근함을 잊을수가 없게 만들었다.

 

유치원도 들어가기 전 아주 어린 시절 방이 두칸뿐인 작은 한옥에서 할머니와 언니와 함께 잠을 잤었던 기억이 어렴풋이 떠오른다. 그땐  시골에 대부분이 한옥집이었던 것같은데, 지금은 전부 양옥집이 아닌 곳이 없고, 커다란 공장들이 여기 저기 들어서 있으니 옛 추억을 떠올리기엔 너무나도 삭막한 동네가 되어버렸다. 그래서일까, 경주 한옥마을을 지날때면 참 많이도 부럽기도 하고 참 아릅답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서울에도 그런 한옥들이 보존 되어 있는 곳이 북촌이라 들었다. 아직 서울 북촌을 한번도 가보진 못했지만, 그곳에서도 그런 인간미넘치는 따뜻함을, 오래됨의 미학을 느낄수 있지 않을까? 북촌에 대한 막연한 기대때문에 책장을 넘기기전 내 가슴이 더 두근거렸는지도 모르겠지만, <서울, 북촌에서>는 정말 내 가슴을 두근거리기에 충분했다.

 

북촌 한옥마을, 정작 가보진 못했지만 책으로 만난 북촌은, 정말 오랫동안 우리들이 보존해야할 곳중에 한곳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절실하게 들게끔했다. 소방차가 들어가기 힘들고, 자본이 유입되면서 보존되어야할 우리들의 한옥이 사라지고 있는 그 모습은 정말 씁쓸하지 않을수 없었지만, 그래도 남은 한옥이라도 제대로 보존해야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간절히 들게끔했다.

 

서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높은 스카이라인에, 북적대는 사람들, 그리고 수많은 자동차들인데 이제는 북촌이 먼저 떠오를지도 모르겠다. 북촌에서는 우리의 아름다운 한옥을 만날수 있고, 그곳에 몇대째 살고있는 사람들의 인정을 느낄수 있는, 사람냄새가 물씬 맡을수 있을 것만 같다. 우리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그곳에 삶의 터전을 마련한 이들의 삶 그 자체가 바로 북촌이 아닐까? 책을 통해 만난 북촌은 어느 것하나 없어서는 안될것같은 곳이었다. 상업자본의 유입으로 오래된 쌀가게가 문을 닫고, 포목점이 문을 닫고, 유명한 커피 전문점이나 대형화랑들이 그곳을 매워내고 있다지만 그것은 우리 스스로가 살아 숨쉬는 역사를 없애는 것이 아닐까,

 

참 많은 아쉬움과 함께 그래도 아직 서울에는 이런 곳이 남아있다는 뭔가의 위안을 받을수 있었던 책이다. 울퉁불퉁한 대들보하며, 제대로 얹어진 기와하며,  뜨끈뜨끈한 온돌까지 한옥은 정말 우리들에게 잊지 못할 그런 마음의 집이 아닐까 싶다. 북촌에가면 그런 집들을 볼수있다는 것만으로도 서울시민들은 복을 받은게 아닐까~ 요즘 북촌은 정말 예전 같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조금이나마 숨을 쉴수있게 해주는, 숨통이 탁 트이는 그런곳이 아닐까 싶다. 아아아아아~ 책을 읽고나니 정말 북촌에 꼭 한번 가보고싶다. 아니 좀 오래 머물고싶다는 생각이 간절히 든다. 책에 나오는 많은 곳들을 둘러보려면 몇일이 걸릴까~ 저자는 20년이 걸렸다는데~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를, 우리의 아름다운 골목을, 우리의 한옥을, 우리의 인정을 느낄수 있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