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나를 부른다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30편의 에세이 APCTP 크로스로드 1
APCTP 기획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이 나를 부른다! 과학이라, 상당히 많이 들어온 말이다. 현대과학과 우리의 생활은 뗄레야 뗄수 없는 관계라는 것을 누구나 잘 알것이다. 하지만 정작 과학이라는 학문앞에서 무너지는 것을 많이들 볼것이다. 나역시 과학이라는 하나의 학문에 대해 거리감을 가지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물론 생물이나 화학, 지구과학은 어느정도 이해를 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물리는 나와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왔으니, 앞으로도 물리는 내 생활에서 배제된 채 살아가지 않을까 싶다.

 

이책은 아시아태평양물리이론센터에서 발간하는 웹진 <크로스로드>에 수록되었던 30편의 글이다. 인문학과 과학을 대표한다고 이를 수 있는 저명인사들의 과학 대중화를 위한 글이라고나 할까, 총 3부로 <과학 밖에서>는 인문학자들이 주로 과학에 대한 글을 썼고, <과학의 변경지대에서>는 과학자와 인문학자모두가 이 둘의 학문을 아우를 수있도록 글을 쓰고 있다. 마지막 3부는 <과학 안에서> 과학자들의 입장에서 살펴본 과학을 이야기 하고 있다.

 

되도록이면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글을 쓰려고 노력한 것이 여실히 보일 뿐만 아니라, 처음 소설가 김연수의 글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가장 과학적인 것이 가장 인문적인 것이라고, 글을 쓰면서도 과학적이고 합리적 사고를 요한다는 김연수의 말은 우리가 과학을 너무 멀리, 너무 어렵게 생각해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만든다. 김연수 외에도 다양한 29명의 직업군을 가진 이들이 쓴 글은 우리에게 과학이란 무엇인지, 인문학과 과학의 조화를 제대로 느낄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히나, 하나의 연속된 글이 아닌지라, 시간이 날때마다 한편씩 챙겨본다면 이책을 제대로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과학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 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항상 과학이라는 것이 우리들에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어릴 때부터 받아온 자연계와 인문계라는 하나의 이분법적 사고로 나뉘어져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서양에서는 인문과 자연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루고 함께 공부할수록 좋은 학문이라 배우고 있다는데 우리 역시 그렇게 배워야하지 않을까? 고등학생때 문과 이과를 나누고, 그에 맡게 공부를 한다고 해서 우리에게 함께 내재되어 있는 인문적성향이 혹은 과학적 성향이 두드러지게 하나만 발현 될수 있을까? 그것은 분명 아니라 생각한다. 과학과 인문학의 조화를 통해서야 말로 우리의 삶이 윤택해지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좀더 과학의 대중화에 힘써 많은 사람들이 과학을 어려운 학문으로만 인식하지 않았으면 한다. 우리 생활에서 꼭 필요한 것이 과학이지만, 그 과학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은 뭔가 모순이지 않는가, 이 책을 통해 다시금 과학에 대한 열정을 불태울(?) 수 있을 것만 같다. 잊고 지냈던 과학, 그리고 인문학. 앞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가 바로 이둘을 하나로 바라보는 것이 아닐까 싶다.

 

좀더 과학적인 사람이 되고 싶다면, 좀더 과학과 친해지고 싶다면 꼭 한번 읽어보라고 추천하고 싶다. 물론, 절대! 한번에 이책을 다 읽으라는 것은 아니다. 나역시 읽으면서 이해가가지 않은 부분들도 있었고, 쉽게 이해가는 부분도 있었기 때문에 쉬이 책장을 넘길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말 과학에 대해 다시 생각할수 있는 좋은 계기였던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