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4
김평 지음, 이김천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몇일 있으면 민족의 대명절 추석이다. 그래서 일까? 책읽는 곰에서 나온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가 유독 눈에 들어온다. 첫 표지부터 둥근 보름달에 손에 손을 잡고 강강술래를 하는 모습 뭔가 익숙한 모습이다. 어릴 땐 티비에서도 이런 강강술래를 하는 모습이나 추석맞이 세시풍속도 많이 봤던 것 같은데, 요즘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주인공 옥토끼는 토실토실 알밤 세개를 주워서 집으로 오다 성큼 가을이 다가온 것을 느끼게 된다. 대문에 못보던 것이 걸려있었는데 바로 벼이삭과 조이삭이었다. 그것을 '올게심니'라고한다. 올해 처음 거둬들인 곡식을 대문에 매달아 내년 풍년을 기원하는 우리의 세시 풍속이라고 한다. 그 뿐만 아니라 집안에서는 한가위를 맞아서 나물이며, 화양적이며 닭찜, 송편까지 음식을 하느라 분주하고, 한가위 날이 되자 옥토끼는 추석빔을 입고 좋아라 한다. 정성껏 준비한 음식들로 차례도 지내고, 조상님산소에 성묘도 간다. 그러고 마을로 내려오니 놀이판이 벌어져 어른들은 '소놀이', 아이들은 '가마싸움'을 즐긴다. 실컷놀다 집에 들어가니 엄마가 외할머니를 만나러 가는 '반보기' 나서길래 따라간다. 친정과 시댁 중간쯤되는 경치 좋은 곳에서 친정 식구들을 만나 쌓인 그리움을 푸는 풍속을 반보기라고한다. 해가 뉘엿뉘엿지자 떠오르는 보름달을 보며 옥토끼는 순이와 함께 소원을 빈다. 그리고 둥글고 탐스러운 보름달 빛 아래서 모두 가는 추석을 아쉬워하며 빙글빙글 강강술래를 돈다.

 

우리네 추석의 세시 풍속을 한꺼번에 살펴본 느낌이다. 특히나 책 뒤쪽에는 옥토끼가들려주는 추석이야기라해 더 자세한 글이 수록되어 있어, 올게심니, 반보기, 소놀이, 거북놀이, 가마싸움까지 쉽게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올게심니나 반보기니 하는 것들은 나역시 처음 들어보는 단어였고, 조금은 어색한 풍속이였지만 정말 과거 우리 조상들은 한가위를 이렇게 보냈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수 있었던 것같다.

 

 내년의 풍년을 기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바쁜 농사일에 친정에 자주가지 못하는 여인네들을 위해 명절만이라도 친정식구들을 만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부터, 온 동네사람들이 한가위를 통해서 다시 한번 단합 할 수 있고 명절을 즐기는 모습은 각박해진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들과는 사뭇다르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아이들에게 이런 우리네 좋은 풍속들이 있다는 것을 알려줄수 있는 책인 것같아서 상당히 괜찮은 것같다. 잊혀져 가는 세시 풍속들을 돌아보면서  친척들이  모여서 음식을 만들고 함께 나눠먹었던 그런 추억을 되새길수 있는 것같다. 물론 지금도 명절이면 음식을 장만해 친척들과 나눠먹고 서로의 안부를 묻곤하지만 과거와는 정말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옛날에 우리는 추석을 어떻게 보냈을까하는 궁금증이 인다면!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옥토끼가 친절하게 들려주는 추석이야기. 점말 매일매일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으면 얼마나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