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황정은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독특한 제목, 놀이공원 청룡열차를 떠올리는 듯한 제목은 나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그뿐만아니라, 소설가 황정은은 이번에 처음 만나게 된 작가라서 더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었다. 황정은이라는 작가가 소설속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낼지, 너무 궁금했다. 각자 자신만의 색깔을 지나고 있듯이 황정은은 어떤 색깔로 글을 써내려갈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물론 읽고난 지금은 음.. 우중충한 회색? 왠지 그녀의 글들을 제대로 나타낼것같은 색이 바로 무채색계통이다.

 

다소환상적이면서 무덤덤하고, 사실 황정은이 무슨말을 하고 있는건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소설은 자고로, 허구성에 기반을 두고 있고, 그 허구 속에서 작가 자신의 삶 혹은 주변의 일부분이 소설 자체에 투영될수도 있고, 어떨 땐 오롯이 작가의 상상력에만 의존할때가 있다고 생각한다. 황정은은 뭐랄까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아닌듯 한 느낌? 환상문학이면서도 아닌 것같은 느낌이다.

 

자신의 등뒤에 또다른 문이 있는 m이나, 모자로 변하는 아버지, 큰 풀을 사다 거실에서 물놀이를 하나는 두사람, 코끼리 열차를 타고 동물원에 가는 나와 파씨, 오뚝이로 변하는 사람. 어느 하나 평범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뭐랄까 평범한 소재를 선택했음에도 그녀가 풀어내고 있는 글들은 쉽게 받아들이기는 힘들것만 같다.

 

시도때도 없이 모자로 변하는 아버지. 그 아버지가 언제부터 모자로 변하기 시작했는지에 대한 가족들은 각자가 생각하는 순간을 말하지만 모두들 그 시기가 차이가 있다. 아마, 각자와 아버지에 대한 추억의 차이겠지. 딸이 성추행을 당했다고 경찰서에 신고를 하다 모자로 변한 아버지. 뭔가 씁쓸하면서도 부성애의 한 장면을 볼수 있었다. 순간 현실을 피하고 싶다면 어느 누구나 모자로 변할 수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잠시 하기도 했다. 물론 현실에서가 아니라, 마음에서 말이다. 모자로 변하는 아버지의 심정을 이해하기에는 어렴풋이 이해하기는 했지만 완전히 이해하기엔 내 자신이 너무 많이 부족 할뿐만 아니라, 황정은의 소설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힘든 것같다.

 

무미건조한 말투로 고무 풀을 사다 거실에 놓고 물을 채워넣고 있는 두사람의 행동들은 나 또한 그 무료함에 빠질 정도로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거실에서 물놀이하는 다큰 어른 두사람. 그것은 현실에서 있을 법하면서도 결코 평범하지 않다. 하지만 그것을 풀어내고 있는 황정은이 더 평범하지 않을것같다는 생각은 왜일까?

 

지금까지 접했던 책들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었다. 그래서 책장넘기는 것 역시 쉽지 않았다. 특히나, 최근에 들어서 한국소설에 재미를 붙이고 읽기 시작했는데, 완전한 환상 문학도 아닌, 그렇다고 온전한 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만은 아닌듯한 소설, 동시에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또 다른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발견한 책이랄까? 나랑 맞지 않다고 해서 이 소설 전부가 별로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 소설은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닐까? 11편의 단편 소설의 끝은 과연 어디인지 모르겠다. 황정은이라는 작가가 만들어낸 무채색의 색깔 속에 빠져버린듯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