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후안 데 파레하 - 신분을 초월한 사제지간의 우정과 예술이야기
엘리자베스 보튼 데 트레비뇨 지음, 김우창 옮김 / 다른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후안 데 파레하나 벨라스케스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책을 펼쳐들었다. 그래서 이 책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섰지만 그것은 기우였다. 미술적 지식이 전혀 필요없었고, 책장을 한장한장 넘길 때마다 그 다음이야기가 궁금해졌다. 펼쳐든지 3시간도 되지 않아서 마지막 책장을 덮을 때까지 노예와 주인에서 시작해 스승과 제자으로 벨라스케스가 삶을 마감할때까지 그 두사람의 우정은 시종일관 따뜻함을 느끼게 해줬을 뿐만아니라, 진정한 스승과 제자의 모습, 그리고 사람과 사람사이의 교류라는 것에 대해 다시금 생각게 해주었다.

 

후안 데 파레하는 벨라스케스의 숙모 에밀리아의 시동으로 있던 노예 였지만, 에밀리아의 집에 전염병이 돌아 모두 죽게 되자 그녀의 재산과 함께 벨라스케스에게 자동으로 상속이 되었다. 벨라스케스는 스페인 마드리드에 사는 유명한 궁정화가로 왕의 총애를 받고 있었다. 후안 데 파레하는 벨라스케스의 옆에서 그의 물감을 짜주고 붓을 씻어 주는 등의 시중을 들었다. 그러다 자신도 그림을 그리기를 원했고 배우고 싶었지만, 스페인에서는 노예는 예술에 종사할 수 없다는 법이 있어 주인으로부터 배우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그는 몰래 몰래 그림을 배워나갔고, 나중에는 왕에게 자신의 그림을 보이게 된다. 그러다 자신의 죄를 고하지만, 벨라스케스가 후안 데 파레하에게 이젠 노예가 아니라는 해방증을 써줌으로써 그둘은 이제 더이상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아니라,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갖게 된다. 그리고 죽을 때까지 그둘은 함께 하게 되는데.....

 

후안 데 파레하와 벨라스케스의 삶 속에서 우리는 과거 노예가 얼마나 천대받았으며, 그들은 주인으로 고통받았음에도 이 둘의 관계는 그런 주종의 관계가 아니라 인간 대 인간으로 서로를 대우 하고있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자신은 노예지만 주인님을 사랑한다고, 마음을 받치는 사람에게 마음으로 화답을 하는 후안 데파레하와 벨라스케스의 모습은 불신이 난무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또 다른 의미로 다가 올것이다. 노예라는 이유로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지 못하지만, 몰래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는 후안 데 파레하와 나중에 그 사실을 알고는 흔쾌히 해방증을 써주며 자신이 이기적이라서 이미 오래전에 새로운 신분을 부여했어야 했는데 그러질 못했다고 조수로써 일해달라고 말하는 벨라스케스의 모습 속에서 우리는 정말 순수하고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만나게 된다.

 

후안 데 파레하와 벨라스케스. 그들이 미술사에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는지 혹은 어느 지위에 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이 소설, <나, 후안 데 파레하>  속에서는 분명 그들은 진정 어린 우정을 나누고 있고, 진실로 사람을 대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이야기 하고 있다. 잔잔한 감동과 가슴 따뜻함을 느껴보고 싶다면, 지금 당장 한번 읽어보는 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