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비실록 - 숨겨진 절반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라는 말을 역사학자 E.H. CARR가 남겼죠. 역사라는 것이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계속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서 역사가에 의해 항상 다시 쓰여지기 때문에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아주 쉽게 말하자면 이런 것이다. 동학농민 운동을 예로 들어보자. 그 당시 역사에는 이렇게 기술되어 있다. 동학농민봉기(반란)라고, 하지만 지금 현시대를 살아 가고 있는 우리는 동학농민 운동을 혁명으로 알고 있다. 정치적개혁을 위한 혁명이자, 농민들이 궐기하여 부정과 외세(外勢)에 항거하였다고 보기때문에 갑오농민전쟁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처럼 역사라는 것은 그 역사를 기술하는 역사가에 따라서 달라 질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다들 조선왕조실록이나, 조선 왕이 어떠니 하는 식의 책들은 다들 한번쯤은 읽어봤을 것이다. 우리의 역사 중에서 왕비가 한 일은 없는 걸까? 항상 왕만이 나라를 지배하고, 모든 걸 결정하고 했을까? 우리나라가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유교중심사회로 변화되고, 고려시대 대등했던 여성의 지위가 낮아지게 되면서 우리의 역사에서 전면에 등장했던 여성들이 살아지게 된 것이 아닐까?
이 책은 우리 조선의 역사와 함께 해온 대표적인 왕비 일곱 명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책에 철저하게 적용된 것이 E.H. CARR의 말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의 저자가 역사적 사료를 가지고 추측성의 발언을 좀 많이 하고 있다. ~하더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식으로 말이다. 이런 추측성의 발언을 하게 된 것에는 지금껏 역사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던 왕비의 경우 후대의 왕이 그 기록을 삭제해 버린 것들이 많아서 기록 자체가 조금 밖에 남아 있지 않았다는 것도 한 몫을 하는 것같다. 사실, 그런 추측성의 발언이 많아서 정말 내가 이 역사를 믿어도 돼? 라는 식의 생각을 하면서도 읽었지만, 무턱대고 그런 추측을 하는건 아니니깐 믿고 읽어도 될 것 같다. 과거를 현재에 맞게 해석하는 것도 역사를 바라보는 한 관점이기 때문이다.
책을 읽고 나서 든 생각이 조선 역사의 흐름을 어느 정도 알겠다라는 것이었다. 일곱 왕비로 조선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대강의 흐름은 어떤 책보다 잘 이해가 됐던 것 같다. 사실 지금까지 장희빈처럼 조선 왕비를 등장시킨 몇몇의 드라마가 있기도 했지만, 이런 식의 왕비만을 기술하고 있는 책은 처음 읽어봤다. 일곱명의 왕비중에서 내 귀에 익숙한 왕비는 인수대비 한씨와 혜경궁 홍씨, 명성황후 민씨이 였기에 더 많은 기대를 가지고 책을 읽을 수 있었다.
태조 이성계의 왕비였던 신덕왕후 강씨(태조가 새로운 국가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방간과 방원을 자기 자식같이 키워내나, 자신의 어린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려다 불우한 말년을 보내고 방원에 의해 역사적 기록조차 남아있지 않게 된다), 태종 이방원의 왕비이자 세종의 어머니 원경왕후 민씨(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승리로 이끌 수 있도록 물심양면도우나, 끝에가 버림받다시피 한다. 하지만 자식복은 많았다),수양대군 세조의 아내 정희왕후 윤씨(조카 단종을 폐위시키고 왕좌를 차지한 수양대군의 아내로, 거듭되는 자식들의 죽음으로 아픈 여생을 불심에 기대어 살아야했다),
추존왕 덕종의왕비이자 수양대군 세조의 첫 며느리이며, 성종의 어머니이고, 연산군의 할머니인 인수대비 한씨(몇 번의 권력의 오르내림 속에서 정말 기구한 삶을 살았다), 궁중비사 “계축일기”의 주인공이며, 선조의 왕비. 광해군의 새어머니인 인목왕후 김씨(광해군에 의해 친정아버지, 동생들, 아들까지 죽임을 당했고, 나중에 인조반정을 통해 광해군에게 복수한다.), "한중록”의 저자이며, 정조의 생모. 사도세자 장조의 왕비 혜경궁 홍씨(자신의 남편과 아들을 선택해야하는 기로에서 남편을 버린 여인이며, 결국 자신의 아들 정조까지 빼앗겨 버리는 비운의 여인이다.) 고종의 왕비이며, 흥선대원군과 권력의 암투를 버린 그녀 명성황후 민씨("나는 조선의 국모다”라는 말을 다들 한번은 들어봤을 것이다. 일본과 중국 러시아, 그리고 흥선대원군과의 권력 투쟁에서, 일본 낭인에게 목숨을 잃은 비운의 왕비이다)
이 책은 위의 일곱의 왕비들의 탄생부터, 시집을 가게 된 경위, 그리고 권력의 중심에서 그녀들이 했던 역할, 역사에 남긴 기록들등 그녀들과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이 등장한다. 말이 조선 왕비 실록이 조선실록이라 해도 맞지 않을까? 왕비와 왕, 그리고 왕실의 권력투쟁이 이 책의 중심소재다. 사실, 역사적 사료를 바탕으로 고증을 거치려 해도 왕비들에 대한 기록이 자세히 남아 있지 않았기에, 저자의 역사적 해석이 많이 들어간 책이 바로 조선왕비실록이다. 개인적으로 역사서를 굉장히 좋아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책들이 기본적인 사료를 바탕으로 기술을 하고 있기에 이런 추측성이 절반 이상 가미된 책은 솔직히 처음이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색다른 재미가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다. 끊임없는 우리의 상상력아니, 추리력을 자극한다고 해야 할까? 이 책을 읽다 보면 어느새 내가 책의 저자가 되어, 몇몇의 사료를 통해서 이럴 수도 있겠지? 이럴거야. 이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되기 때문이다. 색다르게 왕비에 주목 한 것도 괜찮았고, 읽는 내내 조선 역사 흐름을 조금이나마 파악하게 되어서 좋았던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