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요즘 내어머니이야기를 읽고있습니다. 저 또한 제 어머니가 놋새(작가의 어머니)와 연배가 같으셔서 여러가지 유사한 얘기를 많이 듣고 자랐습니다. 일본군 위안부에 안끌려 가려고 14살 나이에 일본군수공장애 취직했던 이야기, 625가 발발하자 기차 지붕에 올라타고 대구까지 피난가서 남의집 살던 이야기, 14후퇴때 전쟁터애서 큰언니를 낳은 이야기 등. 우리 어머니들 이야기 자체가 소설이랄밖에요. 저는 이 이야기를 그 시절을 살아남으신 어머니들에 대한 연가로 읽었습니다.
그래서 전쟁을 겪은 어머니를 안아주는 이 장면에 많은 공감을 했습니다. 저도 이제는 너무 쇠약해지셔서 내 반쪽 어깨밖에 안되시는 어머니를 안아드리고 싶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19-06-27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으면서 엄마 생각을 많이 했어요. 저희 엄마는 아직도 활기차셔서 오히려 제게 반찬을 만들어주시는데... 전 아직도 철이 안 들어 아기 같고요. 저도 작가님처럼 , one fine day님처럼 엄마를 안아드리고 싶네요...

2019-06-27 18: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6-28 10: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6-28 1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BBC에서 제작한 미니시리즈 리틀 드러머 걸을 봤다. 박찬욱감독과 함께 작품의 중의적인 내용을 디테일하게 창조해낸 미술감독, 셋트감독, 카메라감독, 의상감독에게 정말 감사한다. 그들 덕분에 이런 상찬을 보고 맛나게 즐겼다.
이제 원작 차례다. 미니시리즈 결말의 불편함을 원작에서는 극복했는지, 아니면 더 불편해질지... 모든 것은 디테일에 있으니까.

Ps. 이전 표지가 훨씬 더 좋은데 왜 바꿨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 would prefer not to.
몇시간 후면 월요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94년의 태엽감는새 2014년의 태엽감는새. 그리고 2018년에 김난주의 번역으로 새로 나온 태엽감는새. 윤성원의 번역이 나쁘지 않았으나 개인적으로 김난주 번역의 태엽감는새를 오랫동안 기다려왔기에. 너무나 반갑다. 겨울에는 역시 태엽감는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르를 허무는 작업들은 현재의 ECM을 규정하는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파올로프레수, 보컬 앙상블 아 필레타, 다니엘레 디 보나벤추라의 만남으로 재즈와코르시카의 전통 합창을 조화시킨 앨범 『Mistico Mediterraneo』는 ECM의 이러한 정체성을 담아내는 동시에 예술적인 완성도 역시 충족시키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류진현. ECM Travels p.213)

『Mistico Mediterraneo』의 중심을 이루는 것은 아 필레타에서 작사, 작곡 등을 맡으며 그룹을 이끌고 있는 장-클로드 아쿠아비바의 곡들이다. 그는 13세인 1978년에 아 필레타에 합류하여 거의 40년 가까이 음악을 해온 인물이다.
「Rex Tremendae」는 앨범의 인트로 격인 곡이다. 보나벤추라가 차분하게 연주 하는 아코디온의 고요한 음으로 시작하여, 여기에 아 필레타의 멤버들이 하나 둘 가세하며 각자의 파트에 맞추어 아름다운 음들을 만들어낸다. 프레수의트럼펫은 여기에 다채로운 효과를 더하는 양념과 같은 존재이다. (p.2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