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루시 바턴 루시 바턴 시리즈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십을 바라보는 엄마는 여전히 아기가 우는 소리를 못견뎌하신다. 길에서 애가 울고 있으면 일나가면서 집에 두고 나온 자식들의 울음소리로 들렸다고 한다.
나는 문이 쾅하고 닫히는 소리를 싫어한다. 어릴적 싸움이 빈번한 동네에서 자랐기에 문이 쾅하고 닫히는 소리는 폭력적인 일이 생기는 전조였다.
기억이란 그런거다.
내이름은 루시바턴은 떨치고 싶어도 떨칠 수 없는 가족의 이야기고 엄마에 대한 기억의 이야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을 떨치고 나온 나에 대한 이야기다. 언제나 행복한 가족이 얼마나 있을까 싶지만 나에게도 가족은 내 모든 감정의 근원이고 영원한 숙제이다.

나는 작가가 되려면 냉혹해야한다는 제레미의 말에 대해 생각한다. 또한 내가 늘 글을 쓰고 있고 시간이 충분치 않다며 오빠나 언니, 부모님을 만나러 가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진정 냉혹함은 나 자신을 붙잡고 놓지 않는 것에서, 그리고 이렇게 말하는 것에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이게 나야 -일리노이 주 앰게시-에는 가지 않을 거라고, 내가 원하지 않는 결혼생활은 하지 않을 거고, 나 자신을 움켜잡고 인생을 헤치며 앞으로 , 눈 먼 박쥐처럼 그렇게 계속 나아갈 가야 !. 라고. 이것이 그 냉혹함이라고. 나는 생각한다.엄마는 그날 병원에서 내가 오빠나 언니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지금 네 인생을 봐. 너는 묵묵히 네 길을 가서...... 원하는 걸 이뤘잖아' 그 말은 아마 내가 이미 냉혹했다는 의미였을 것이다. - 내이름은 루시바턴 204페이지

내가 내 아이들이 느끼는 상처를 아느냐고? 나는 안다고 생각하지만, 아이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할 지 모른다. 하지만 나는 우리가 아이였을 때 품게 되는 아픔에 대해, 그 아픔이 우리를 평생 따라다니며 너무 커서 울음조차 나오지 않는 그런 갈망을 남겨놓는다는 사실에 대해 내가 아주 잘 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것을 꼭 끌어안는다. 펄떡거리는 심장이 한 번씩 발작을 일으킬 때마다 끌어안는다. 이건 내거야. 이건 내거야 - 내이름은 루시바턴 217페이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ne fine day 2024-04-16 1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며칠 전 알라딘 서재 알림으로 5년 전 오늘 내가 작성한 글이라며 이 글이 떴다. 그때만 해도 구십을 바라보시던 나의 엄마는 집안에서는 움직일 수 있으셨고, 나와 정치적 논쟁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기력을 가지고 계셨다. 그때의 나는 여전히 엄마에게 상처를 받을 수 있었고, 내 딴에는 엄마에게 모진 말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이런 글을 쓸 수 있었다.
이제 내 곁에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있었던 엄마는 안 계신다...

그날 난 며칠동안 식사를 못하시던 엄마를 위해 가장 좋아하시는 간장 게장을 차려드렸다.
그날은 어쩐 일인지 엄마가 식사를 하셔서 얼마나 기뻤던지...
식사가 끝나고 엄마는 나를 물끄러미 보시더니,
˝**아, 그동안 섭섭했니? 섭섭했다면 미안하다...˝고 하셨다.

그것이 엄마의 마지막 식사였다.
그날 밤 자정 무렵 엄마는 갑자기 정신을 잃으셨고, 그렇게 다음 날 내 곁을 떠나셨다.

엄마가 내 곁에 다시 온다면 나 여전히 섭섭하겠지만, 그리고 또 난 엄마에게 모진 말을 하겠지만,
엄마가 너무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