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너를 향해 흔들리는 순간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타고난 천재, 광인 혹은 기인이라고 불려지는 이외수. 비록 문단에서는 아웃사이더로 통하지만 그림, 서예 등 예술계에서는 활발하게 재능을 펼쳐온 다재다능한 매우 독특한 작가이다.
7월 모임에서 다루어진 산문집 ꡔ내가 너를 향해 흔들리는 순간ꡕ은 이외수 작가의 홈페이지게시판에 발표한 작품들 중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한 작품들을 엄선하고, 나무젓가락을 이용해 그린 색다른 그림들을 작품과 조화롭게 배치한 것이다.
제목에서도 언뜻 느낄 수 있지만 책 내용 역시 그 자신이 흔들렸던 순간순간에 대해 가감 없이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그의 일기장을 몰래 들쳐보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하기도 하고, 어떤 글들은 바로 나(읽는 이) 자신의 상처를 건들기도 한다.
비가 내리는 이유가 ‘가뜩이나 외로운 그대 가슴 적시려고’라던 그의 말은 다름 아닌 바로 나 자신의 외로움을 잦아들게 만들고,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공통점’ 역시 독자의 무지를 깨우쳐 준다. 홈페이지 게시판이 무차별적인 테러(?)에 몸살을 앓을 때, 어쩌면 그는 우리가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의 상처를 받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자신이 받은 상처를 거름 삼아 다른 이들의 상처를 어루만져 주는 그의 글은 내가 받은 상처에만 급급해 살아가는 우리들을 부끄럽게 만든다. 그에게 있어 글은 고통의 산물이며, 덧난 상처의 고름과 같은 것 같다. 그런 글을 우린 아무 수고없이 읽고 가볍게 얘기한다. 한 작가가 피를 흘러 한 권의 책을 썼음에도 우리 자신은 너무나도 가볍게 읽고, 그를 판단한 것 같다. 정작 자신은 한 문장의 글도 쓰지 못하면서 말이다.
언젠가 그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단다. 우리들이 책을 제대로 읽고 있지 못한다고. 올바른 독서법이란 그 소설의 주인공에 빠져들어, 즉 자신을 버리고 그가 되어 또 다른 자신만의 감상으로 읽는 것이라고. 머리로 읽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읽어 나가야 하는 것이 올바른 문학을 대하는 마음이라고 말이다. 역시 말로 몇 마디 나누는 것보다 진짜 마음으로 느끼고 감흥을 받아 영혼이 풍성해지는 독서가 성실한 책읽기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