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하지 않고 배불리 먹고 싶다 - 부채사회 해방선언
구리하라 야스시 지음, 서영인 옮김 / 서유재 / 2016년 9월
평점 :
일단 제목을 보고 놀랐다.
어쩜! 나도, 나도!
내 마음을 들킨 것 같기도 하고, 이런 생각을 당당히 제목으로 붙이다니 흥미롭기도 하고.
읽지 않을 도리가 없다.
저자는 하고 싶은 것들을 하며 자유롭게 보낼 수 있는 세상을 꿈꾼다.
빈부나 인종, 국적, 학력, 계급, 성별 등에 따른 차별이 없고 별다른 능력이 없어도 모두가 한 데 어울릴 수 있는 세상 말이다.
사람을 특정한 잣대로 등급 매기지 않는 세상.
그는 국가도, 사회도(시민? 사회인 따위), 도덕주의도 '똥'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그런 저자에게 '일하지 않는 자 먹지도 마라'는 말은 가장 듣기 싫은 헛소리다.
일하고 돈을 버는 것, 그 돈을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 쓰는 것, 더 나은(혹은 현재의) 삶의 질을 위해 다시금 일하고 돈을 버는 것 _ 그런 삶은 인간답지도, 즐겁지도 않다.
저자는 이런 현대 사회를 '인지자본주의'라 일컫는다.
말하자면 이 사회는 정보를 듣고 그것을 인지하여 거기에 반응하는 것만을 중요시한다. 그저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만을, 한마디로 말해서 귀만을 중시하는 사회이다. 이런저런 정보가 귀에 들어오면 아무 생각 없이 그저 들은 대로 움직이라는 것. 그러니까 위에서 명령이 내려오면 거기에 따르기만 하라는 것이다. (19쪽)
옮겨 적고 보니 살짝 비약이 있는 문구지만, 앞뒤 내용을 보탠다면 모든 것이 자본주의에 따라 세팅되어 있는 현실을 꼬집은 것이다.
돈이 되는 일은 좋은 일, 돈을 잘 버는 사람은 능력 있는 사람(그 반대일까?).
우리는 '부지런히' 일해서 돈을 벌어야 제 몫을 하는 인간으로 대접 받는다.
여기서 방점은 '일한다'가 아니라 '돈을 번다'에 찍힌다.
돈을 벌어야 제대로 된 사회인으로 대접받는 것이다.
아, 분하다.
이십대 초중반 쯤인가부터 내 꿈은 이런 거였다.
배우자 혹은 파트너가 벌어오는 돈으로 실컷 책 읽고 학교 다니고 공부하고 글쓰면서 살고 싶다는 것.(그런 점에서 이건 내가 이룬다기 보다 남이 이뤄줄 수 있는 꿈이다.)
그게 어렵다면 근근히 알바나 하면서 살아도 딱히 나쁘지는 않겠다고 여겼다.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난 절대 결혼은 못할 줄 알았다.(그러나 세상엔 나 같은 빈대 혹은 베짱이도 좋다고 하는 너그러운 사람들이 있다. 아름다운 세상이다.)
정작 나를 들들 볶는 사람들은 내 꿈을 책임지고 있는 배우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다.
한심하다, 그 놈의 책은 맨날 읽어서 뭐에 쓰냐, 그거 전공해서 어디 취직하려고 하냐, 그렇게 빈둥대는 시간에 자격증이나 따라, 어디 써먹을 데도 없는 것 좀 하지 말아라, 요즘 세상엔 여자도 돈을 벌어야 먹고 산다 등등.
정말 저런 소리는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었다.
"요즘 ***자격증 있으면 취직 잘 된다더라. 한가할 때 그거나 따지 그러냐."
"아, 저도 들었어요. 하지만 그 일은 제가 하고 싶은 게 아닌데요. 그리고 저도 나름 바빠요."
"뭐 하는데 바빠?"
"집안일도 해야 하고, 책도 봐야 하고요. 공부도 하고요."
"무슨 공부?"
"이것저것 관심 있는 거요."
"그거 공부하면 무슨 일을 할 수 있는데?"
"그건 저도 잘....(별로 생각해 본 적도 없음...) 그냥 재미있어서 하는 거예요."
"사람이 재밌는 일만 하고 어떻게 사냐!"
"....."
대화는 대충 이런 식으로 전개된다.
그러니까 사람들이 말하는 '일'이란 돈으로 보상받는 걸 뜻하고, 나는 그런 쪽엔 잼병이다.
사람 일이라는 게 어떻게 될 지 모르니 아주 가망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는 그렇다.
아니, 재밌는 일을 하는 게 뭐 어떠냐 말이다.(직접 대꾸하진 못하는 소심함.)
나도 외치고 싶다.
일하지 않고 배불리 먹고 싶다!
딩가딩가 놀고 싶다!
유쾌하게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읽었다.
친한 친구 만나서 수다 삼매경 빠진 것처럼 이야기가 여기저기로 샜다가 돌아오길 반복하고, 이런저런 에피소드가 뒤섞여서 혼자 큭큭거리기도 했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무엇보다 옮긴이가 번역을 아주 맛깔나게 한 덕분이다.
감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