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후기의 향리
이훈상 / 일조각 / 1990년 7월
평점 :
품절
아주 오래 전에 읽고자 시도하였던 "조선 후기의 향리"를 다 읽다. 몇 차례 시도하다가 번번이 읽지도 못하였던 책이다.
조선의 향리들은 고려시대와는 달리 국가로부터 토지를 지급 받지도 못하고 신분적인 제약도 많았으며 아전의 지위에 머물러 많은 불만을 사왔다. 그렇다면 이들을 무얼 가지고 삶을 유지하였으며 특정한 집단을 형성하여 근대화의 기수역할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궁금함때문에 읽기 시작하였는데, 통설에 도전하는 내용이 색달랐다. 일단은 조선 후기 신분상의 변동이 매우 심하여 양반층의 확대되고 양인층과 천민층이 매우 얇아진다고 하는데 향리 가계를 연구해보니 이런 통설에 회의가 간다. 양반층이 얼마나 폐쇄적으로 움직이면서 중인이나 서얼을 수용하는데 인색하였는지, 또 향리층이 사족층에 끼이기 위한 노력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움직였는가를 밝혔다. 또한 향리층의 경우도 이방이나 호방을 지낸 가문은 좁아지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서로 통혼을 함으로써 폐쇄적으로 결속하는 양태를 보여주었다. 아울러 서민문화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탈춤의 경우 향리층이 주도하면서 이루어진 것으로 농민들의 감정을 풀어주면서 자신들에게로 향할 수 있는 감정의 응어리를 해소하는 모습들을 거의 대부분의 지방에서 보이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심지어 탈춤을 정리한 신재효의 경우도 향리출신이라고 한다.
각 지방의 향리가문의 족보를 세세히 살피고 정리하면서 또 향리층이 남기고 있는 "안동향손사적통록" 이라든지 "연조귀감"등을 자세히 분석하여 평소에 잘 모르던 분야사에 대한 꼼꼼한 설명이 합리적인 느낌을 주었다. 여전히 향리들이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은 알길이 없었으나 통설로 쉽게 설명하고 의문을 접던 태도에 자극을 불어넣어준 것은 사실이다.
의문을 풀어가는 진지한 자세를 갖도록 나 스스로도 노력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