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 과학기행 - 역사 속 우리 과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중양 지음 / 동아시아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역사적인 안목을 가지고 과학을 바라본다는 것은 참으로 필요한 일이다.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살펴보되 그 당시의 가치관과 사고를 가지고 생각하고 판단한다는 것은 기초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말을 쉽지만 과학과 역사의 만남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그것은 역사와 과학이 별개의 카테고리를 안고 있기 때문일게다. 때문에 인문학과 자연과학이란 사고와 가치가 매우 다르고 생소하기까지 한 영역을 접합시키는 사람들의 노력은 아름답기 그지 없다.

  큰 기대없이 사본 책인데... 근대와의 접합점 부터 그러니까 책을 거의 거꾸로 읽었는데, 15세기와 16세기 그리고 17세기와 18세기의 서로 다른 사고와 생각들이 녹아있음을 과학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언뜻 스치고 지나갔던 첨성대의 제사기능이 역법을 살피고 헤아려보는 것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면서 선덕여왕 시절, 여왕의 고민과 한계점의 극복을 위한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쉽게 쓰여있으며 개인적으로는 지도와 천문도를 살피는 일이 쉽지않은 일이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흥미롭게 살필수 있었다. 특히 사진자료나 실측자료는 선명하고 꼼꼼히 살펴 편집한 흔적들이 보여 자료로 이용하기 좋아 보인다.

  조선의 유학자들이 성리학적 자연 인식 체계를 소화해서 우주론적 사색을 본격적으로 펼친 때는 16세기 이후이며 서경덕의 화담집으로부터 시작하여 17세기 초 장현광의 "우주설"(1631)에서 질적으로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홍대용과 최한기의 예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조선 유학자들은 그들이 궁금해 하고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에서는 전통 과학의 패러다임으로 훌륭하게 문제를 해결했다. 단지 지엽적으로 그들이 모르고 있던 사실에 대해서는 서양 과학이 전해 준 새로운 사실들을 경험적 자료를 취하듯이 수용해서 활용했을 뿐 전통적인 사고 체계의 논리적 기반을 이용해 서양 과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역사의 모습이라고 했다.(머리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