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실은 하늘을 보았다 2
김종록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하늘이 내게로 다가온다. 하늘의 의미를 알고 바라보기 시작했던 것은 언제쯤이었을까? 샤먼들이 하늘과 인간을 연결한 이후로 하늘은 신앙으로 혹은 삶으로 다가오기 시작했을 것 같다.

  장영실이 세종과 더불어 바라본 하늘은 15세기의 하늘이다. 역사를 통해 배운바로는, 중국에서 오는 역법을 받아들이기까지 비어있는 기간들을 계산하고 정립하기 위해 역법을 발전시키고 칠정산 내외편과 같은 역작들이 생겼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 작가는 독자적인 하늘을 바라보는 과학의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한다. 그것도 장영실과 장영실을 품을 줄 알았던 세종의 천문학의 하늘로서 말이다. 그리고 작가는 문학의 대상으로 그려내며 별자리는 그림이며 또 다른 의미망을 지닌 문자로, 상상력의 화려한 역사로 설명한다.

  장영실을 수용할 수 없었던 세종과의 관계를 비밀스런 친서 한장으로 종결시킨 것은 그동안의 밀착관계로 보건대 너무 허약한 결말이다. 그리고 치열하게 과학도로 살면 고구하고 의심했던 장영실이 불교의 원융의 품으로 들어가 삶의 자세를 바꾸는 것도 연약해 보인다. 우주관이 바뀔 수는 있겠으나 그의 노력이 후학의 양성이라든가 혹은 다른 기술의 개발 등으로 이어지는 것이 뿌리를 이어가야 한다는 점에서도 오히려 논리적인 상상이 되지 않았을까?  물론 15세기의 과학의 16세기의 성리학에 몰입되었고 우리는 역법의 과학세계라는 성리학의 범주로부터 놓여나지 못하는 세상을 지나왔음을 알고있다.  그것은 근대적인 관점에서는 비판되고 애석하게 여겨지는 법이나 16세기가 꿈꾸던 세상에는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16세기라고 장영실같은 천재가 어찌 없었으랴? 단지 세상에 드러내지 못한 것은 그 시대가 안고 있던 한계성이며 품지못한 주변인이었을 것을....

  전적으로 동의하고 감동하지는 않았으나 생각을 한번쯤 하게 만든 책이었다. 아울러 잘 보이지도 않던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오랫동안 살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