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멸의 이순신 8 - 불멸의 길
김탁환 지음 / 황금가지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도서관에 비치된 6권을 먼저 읽고 한 계절이 다 지난 후에 7,8권을 읽게 되었다. 그런만큼 느낌도 인식도 새롭다. 처음 김탁환의 "불멸의 이순신(1-6권)"을 읽으면서 스케일이 방만한 것에 대한 그리고 전지적 시점에 대한 마음의 불편함이 있었는데 7,8권은 전쟁의 승리와 전장에서의 이순신의 죽음에 대한 준비 그리고 영웅이 되어가는 과정들이 개인사에 맞추어져 치밀한 소설적 구조를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그것은 확실히 김훈의 소설과는 또 다른 시각이었다.
국운을 건 전쟁을 그것도 숱한 생명을 길거리에 던져놓은 긴 전쟁을 치루면서 지도자가 이기적이거나 개인적인 동기에 의해서만 행동할 수는 없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선조 혹은 광해군에 이르기까지도 군왕으로서의 입장만이 유난히 강조되고 자신이 책임져야 할 몫을 온전히 신하들에게만 돌린다는 것은 좀 뭣하다. 군왕의 도를 강조하는 성리학의 입장으로 볼 때에도 선조는 성군으로 추앙을 받으면서 등장했던 인물인데....역사를 공부하면서도 이기적 욕구가 역사를 움직이는 것을 인정하기 싫어함은 나의 개인적인 생각일까? 역사의 분홍빛 희망을 버리지 않는.... 서애 유성룡과 이순신은 인간의 경지를 넘어서 영웅의 자리에 오르게 되고 원균의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은 종말은 이순신과 전우로서 화해하며 전우애로 불패의 신화를 완성하게 하고, 또 패배한 싸움에서 이순신과는 달리 죽음을 수용함으로써 순종하는 무장으로 왕과 신료들에게 긍정적으로 살아있게 되는 것, 이순신 휘하의 막료들이 선택할 여지없이 교산 허균처럼 역모를 논하는 것은 좀 뭣하다. 당시 백성을 그렇게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동인으로 선택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성리학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충성으로 무장되어 전쟁을 수행한 군인들이 쉬이 시대의 반역을 꿈꾸는 일이 집단적으로 가능했을까? 무기력하고 이기적인 왕과 정치적 지도자 그리고 민중을 배반치 않고 자신의 목숨과 바꾸어서 역사속에서 영생을 꿈꾼 이순신으로 대립되는 구도가 불편하기는 하였지만, 이순신을 살펴보고 평가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난중일기를 통해 소설과는 다른 접근을 꿈꾸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