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출
김형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오랫만에 영화를 보면서 예고편을 통해 펼쳐지는 섬세한 심리묘사에 관심을 기울여본 기억이 있다. '외출'은 먼저 몇 컷의 영화 장면으로 내게 다가왔다. 섬세한 심리영화가 될 것 같은 예감이 '영화를 봐야지'하는 생각을 갖게 했다. 그런데 영화를 먼저 본 사람들이 기대이하라고 보지 말것을 강권하는 바람에 영화는 여지껏 보지 못했다. 한참 후 영화와 동시에 소설로 만들어져 또하나의 시도로 세인의 관심을 끈 이 책을 하룻밤에 보게 되었다. 분량이 많지도 않고 스토리가 복잡하지도 않았기에 피곤한 눈을 잠깐씩 감아가면서 보기에 충분한 책이었다.

  표지가 표현하는 밝음은 뻔한 스토리의 해석을 뻔하지 않게 유도하는 느낌이 들었다. 밝고도 가지런한 발, 잠시동안의 외출이란 생각보다는 이생에서 부여받은 삶의 외출일수도 있으리란 기대... 그것은 어쩜 영원성과도 통하는 것이리라.

  사업과 출장을 핑계로 혹은 간호를 핑계로 네명의 인물들은 소도시로의 외출을 하였고, 책의 절반은 그 외출의 내용을 알게되면서 느끼는 분노와 내면의 황폐함을 세밀하게 묘사해주고 나머지 절반은 같은 상황에 처한 상대를 통해 위로와 평온을 느끼면서 상대를 통해 잃은 사랑을 발견하고 그 사랑을 잔잔하게 확인해가는 과정이다. 물론 불륜과 순수는 막 섞이어 있고 그들의 삶의 경계도 허물것 없이 자유롭게 넘나든다.

  윤경호와 서영은 중매를 통해 결혼을 하였음에도 연애와 사랑의 기쁨을 확인할 수 있는 아름다운 부부로 서영의 눈을 통해 고백되고 , 노랑의 이미지로 아내를 인식하고 사랑하는 인수와 인수를 자신있게 만들고 탄력있는 삶을 사는 수진은 남편보다 먼저 알고 함께 이해하는 윤경(호)와 남편과 나누는 만큼의 열렬한 사랑을 나눈다. 아내에게 늘 점잖고 젠틀한 윤경호는 네 축가운데 자신의 감정이나 말을 전혀 하지 않고 사라진 인물, 그렇다면 서영을 통해서 바라보는 윤경호의 모습, 그리고 비디오와 핸드폰에 남겨진 잔상으로만 기억되는 자기말이 없는 존재이다. 그에 비해 수진과 서영은 살아 움직임이 있고 남편이자 애인이며 영원한 사랑의 동반자일 수 있는 인수와의 삼각관계같은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나는 서영과 인수의 사랑이나 혹은 감추어진 채 사고로 드러났던 수진과 경호와의 사랑이 별반 다르지 않은 듯 느껴졌다. 결혼을 통한 배우자에 대한 사랑이 오로지 유일한 것은 아니란 생각도 한편 들고 또 한편으로는 우리 인생이 완전한 사랑을 찾아 헤매며 그 대상을 찾기위한 방황을 하는 것이 아닌 이상 사회를 안정성으로 몰고가는 제도와 구습도 매우 필요한 장치라는 생각도 든다. 또한 사랑의 방법이나 그 표현방식이 육체적인 관계맺음을 통해서 완성되거나 절실해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사소한 것들을 나누고 인정하면서도 든든한 동반자와 같은 연대의식을 얼마든지 느낄수 있다. 인간에 대한 신뢰나 혹은 사랑이란 느낌이 꼭 이렇게 표현되는 것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처한 상황들을 겪어내고 해결하면서 잃은 사랑에 대해 또다른 사랑을 찾아냄으로써 인간성을 상실치 않는 모습들은 밉지 않았다. 오히려 위안이 되기도 하였다. 리얼리티의 여부를 떠나서 말이다.

  영화가 너무 주연배우들의 겉모습에 치중했다 하더라도 볼 걸 그랬나보다란 생각과 아쉬움이 잠자리에 드는 나를 떠나지 않았다. 권하기엔 좀 뭣하다. 하지만 읽어보아도 좋을 것 같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