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로운 가난
엠마뉘엘 수녀 지음, 백선희 옮김 / 마음산책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나의 부요함이 내 가족이 행복과 풍요를 가져다 줌은 물론 행복의 가장 중요한 지수로 차지하고 있는 오늘날, 우리는 내 이웃의 빈곤과 어려움을 돌아보기보다는 나의 문제에 국한된 아주 작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을 뿐이다.

  이런 나에게 엠마뉘엘 수녀(Soeur Emmanuelle)의 삶과 주장은 경건한 감동을 불러 일으켰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유복한 환경속에서 자라던 그녀가 아버지의 죽음을 경험하고 짚자리에 누워있는 아기예수의 불쌍한 환경에 대해 항의하는 유년기의 심성은 범상치 않음을 보여준다. 평생을 불행한 아이들을 돌보는 일에 헌신하고 교사직을 은퇴한 62세에 새로 선택한 삶은 카이로의 빈민가 넝마주의의 생활이었다. 자존감을 가지고 자신들의 삶을 회복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도운 그녀는 1993년 프랑스로 돌아와 부유한 나라의 불만에 가득찬 사람들을 보면서 충격을 받는다.

  물질적 풍요의 파괴적인 변모 그리고 가난이 가져다 줄 수 있는 풍요로움의 패러독스로부터 이 책은 시작된다. "가난은 내가 이 지구상에서 몰아내기 위해 언제 어디서나 싸워온 추한 현실"(20쪽) "자신을 사람들이 쓰고 나서 버리는 쓰레기 같다고 느끼는 소외 - 소외란 사회와 노동의 세계와 가족 바깥에 처한다는 의미로 가난한 이들은 아무런 관계를 갖지 못한다. 외톨이다" (50쪽) "아프리카에서는 분명 대부분의 사람들이 궁핍 속에서 근근이 생활하지만, 질투를 느끼지는 않는다. 질투는 오히려 부유한 나라들에서 터져나온다. 소수의 가난한 이들이 부에 둘러싸여 살고 있는 그런 나라들에서" (50쪽) "말로 하는  항거는 쉽지만 행동으로 옮기기란 어렵다."(72쪽) "가난은 궁핍과는 다르다. 궁핍은 기본적인 욕구들의 박탈을 내포한다. 먹을 것과 입을 옷과 주거지가 없어 배고프고 목마르고 추운 상태인 것이다."(133쪽) "나는 여러분들이 행복한 사람의 대열에, 자신들의 정체성이 물질적 정신적 지적 풍요로움에 토대를 둔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의 풍요로움에 토대를 둔 것이라 믿는 자들의 대열에 들어서길 기원한다."(141쪽) "인간에게서 감동적인 면모는 의기양양한 모습이 아니라 나약함과 무력함에도 불구하고 매달리는 악착스러움을 통해서 싸워나가는 모습" (153쪽) "자신을 해방시킨다는 것, 그것은 결국 자기 안에 있는, 타인과 관계 맺는 존재를 해방시키는 것"(168쪽) "우리 모두가 빛과 그늘을 가로질러, 손에 손잡고 형제애의 길을 가야 한다. 그것은 인간의 마음을 가득 채우는 길이다. 그것은 하느님의 마음을 가득 채우는 길이다. 그것은 환희다." (234쪽) 듬성듬성 뽑아보아도 내 마음을 채우는 주옥같은 글귀들이 그의 삶속에서 체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풍요로운 가난을 실천했던 작은 경험들이 있다면 그것을 살려보고, 꾸준히 실천해감으로써 나와 네가 함께 행복해 질 수 있는 모습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가난했던 나라에서 살아왔던 우리들은 가난의 퇴치를 위한 여러 나라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젠 우리가 도울 수 있는 시점에 도달해 있는 것 같다. 상대적 빈곤으로 박탈감을 느낄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작은 노력들을 꾸준히 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