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도해본 가족여행이다. 다섯 형제가 큰 오빠가 사는 제주도로 날아갔다. 각자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비행장을 선택해 서울, 청주, 군산 등에서 각자 날아들었다. 도착 시간이 다르듯 떠나는 시간도 다 달랐다. 때문에 이박삼일의 여정 속에서 함께 움직일 수 있었던 거의 유일한 시간이 둘째날인데 그날은 한라산 등반으로 계획되었다. 스무명이나 되는 가족들은 세차례로 나누어서 성판악 코스를 밟게 되었다. 7시 20분부터  10시 20분까지 정말 다양한 출발시간이었다. 한사람의 낙오자도 없이 한라산 꼭대기에서 만나 부둥켜 안고 서로가 즐거워 사진으로 함성으로 혹은 한숨으로도 공유하였다. 백록담의 물은 아주 조금 밖에 안남았었지만 노루가 와서 마시고 가곤 했다. 날씨는 쾌청, 그 흔하다는 안개 한자락도 구경할 수 없는 정말 축복받은 날이다.

  오후 두시 반 - 하산을 재촉하는 소리에 가족들은 관음사 코스로 내려오면서 구상나무군을 바라보고 환호성을 지르고 한라산의 절경에 사진도 찍어가면서 정말 한가하게 내려오기 시작하였다. 성판악코스보다 짧으니까 서너시간이면 당연히 내려오리라 생각하면서 말이다.

  하지만, 산은 내 머릿속에서 처럼 움직여 지는 것이 아니었다. 가도가도 별로 줄지않는 길과 그에 힘들어하는 살찐 재성인 걸음이 둔해지고 35kg가 넘는다는 몸무게때문에 업어줄 생각도 못하고 쉬엄쉬엄 내려오는데 3km를 남기고 해가 꼴딱 꼴딱 넘어가려 하는 것을 보았다. 난 외출로 나온 규일일 보려는 욕심에서 달려나왔고 우리보다 1.5km쯤 앞선 동생네를 따라잡아 대신 부탁하고 어린 아이들을 인도해냈다. 아주 캄캄해진 산길에 손전등하나도 없이 뒤쳐진 여섯명의 우리 가족들, 거의 구출의 역사를 진행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합심해서 무사히 내려왔다.  아니 무사하다고는 할 수 없겠다. 다리를 접지른 환자도 한 사람 나왔으니.... 진한 가족애를 느꼈다. 쪼리를 신고 재성일 찾아 뛰어간 큰 오빠와 막내 영환, 재성이가 나오는 걸 보면서 무조건 '감사합니다'라는 말이 입에서 터졌고. 랜턴을 주기위해 뛰는 나는 땀이 비오듯 한다는 체험을 생생히 하였다.

  덕분에 예약되었던 횟집에는 거의 세시간이나 되는 긴 시간동안 식구들이 띠엄 띠엄 도착했다. 가족의 사랑을 확인하고 서로가 결속될 수 있음을 느낀 정말 값진 체험이었고, 산은 함부로 평가할 수 없음을 절대적으로 깨달았다. 아무리 밋밋하다 해도 한라산 18km의 길이는 하루동안 잠깐 거닐 거리는 분명 아니었다. 한라산을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아하, 한라산 - 가장 힘들었던 재성인 한라산을 뿌셔 버리자고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