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이순신 5 - 아, 한산대첩
김탁환 지음 / 황금가지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성웅 이순신을 먼저 배운 우리 세대는 이순신 개인의 가졌던고민이나 그 시대 상황을 분석하고 상상해보는데 매우 인색하다. 그는 시대를 뛰어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어떤 장애도 그에겐 거칠 것이 없어야 하고,  난세를 구한 불세출의 영웅이기에 우리와 같은 보통의 사람들로는 범접하기 어려운 그 무엇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요즈음 드라마 중에서 김훈의 "칼의 노래"와 김탁환의 "불멸의 이순신"을 가지고 만든 사극이 매우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나도 가끔 보는 편인데 아직은 극이 불멸의 이순신에 많이 편중된 느낌이 든다. 사실 "칼의 노래"에서 밝힐 수 있는 내적인 긴장감과 주인공의 갖는 심상의 편린들을 어떻게 극화할 수 있을까 궁금하기도 하고 시대와 공간을 한없이 확장시켜놓은 "불멸의 이순신"이 사극의 소재로는 훨씬 다루기 쉽고 매력적일 것 같다. 그래서 드라마는 불멸의 스토리로 계속 이어지게 될 것 같기도 하다. 이 소설은 어떤 인물에도 편중됨이 없이 양난의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며 변혁을 꿈꾸었던 각계각층의 사람들의 모습을  찾아내고 연결시켜보고자 애쓰고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테면 요순과 같이 비교되었던 선조의 출현과 왕위를 지키려는 치열한 갈등, 왕위를 꿈꾸며 중립외교의 기치를 드높였던 광해군, 서애 유성룡과 이항복, 이덕형, 오음 윤두서, 죽어서도 말하는 율곡 이이, 작은 실수도 용납할 수 없다는 이순신과 끝없이 행동하고 도전하고 싸우는 원균, 허준과 최중화, 초희와 미진낭자, 돈을 통해 세상을 바꾸고자 애쓰는 곱사등이 임천수, 당취를 이끌면서 불국토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야심많은 변혁가 월인, 백성을 무서워하라며 그들의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애쓰던 시인 하지만 스스로 유학자의 길을 끝내 못버린 허균, 食人까지도 마다하지 않고 삶의 극한 상황까지 몰고갔던 허균의 스승 손곡선생, 남궁두와 방진 그리고 휴정과 유정, 등등 총체적 위기상황을 설정한 국난을 통해 시공간을 무한대로 팽창시켜놓는 작가의 넓은 시야에는 비현실적 공간이 역사 현실보다 더 넓게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확장이란 개념보다는 전지적 시점에서 과거를 마음대로 주무르며 현대를 투영하는 느낌이 명쾌함보다는 거북한 느낌을 많이 가져오게 한다. 이를테면 이런 인물들이 조선의 산하에 비일비재 했는데 임진왜란 같은 전란을 왜 당했을까? 라는 의문을 제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미 지나간 역사를 재구성 해보기는 쉽다. 하지만 총체적 관점을 가지고 바라본다고 하더라도 중국과 조선과 일본의 전국시대를 이어가며 또 건주위 문제를 불러일으킨 야인들까지도 아우를 수 있는 시대감각이 가능한 것일까? 국난의 어려움 속에서도 왕권에 집착하면서 눈물을 보이는 것으로 왕노릇을 다했던 선조가 난이 끝난 후에 중국의 도움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었을 뿐 백성들의 희생과 의병활동까지도 평가절하했던 역사성을 알고 있는데 소설적 상상력은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을까? 이순신과 원균은 전란을 바라보는 눈이 그렇게도 다르고 합치될 수 없었던가? 서애 유성룡의 시국관은 한없이 넓어보이지만, 실제로 그럴까? 그 나머지 소설적 허구의 경우는 질문을 하지 않기로 한다.

  영웅에 대한 생각을 한 시대를 철저하게 살고자 노력했던 인간의 모습으로 바라보았다는 점, 그리고 한 영웅적 인간에 대한 다른 관점의 두 소설이 나를 즐겁게 긴장시켰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져본다. 6권이 끝인줄 알고 열심히 읽어댔는데 7,8권이 또 있다니 언제까지 다 읽어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