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통해 왁자하게 떠도는 글들 중에서 주옥같은 작품을 건졌다는 느낌이 든 책이다.

출판시장의 어려움을 생각한다면, 웹이든 다른 매체를 통해서든 일단 걸러지고 많은 이들에게 애독되는 책이 나오는 방식은 좋은 것 같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이렇게라도 문화의 바람이 솔솔 불어서 책이 시들지 않는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싶기도 하고...

 

  아주 오랫만에 노트를 하면서 책을 보게 되었다. 다른 이가 아닌 나 자신에게 주는 말로 받고 또 나를 들여다보면서 짧은 글귀를 통해 성찰의 시간을 갖기를 소망하였다.

  혜민 스님은 <인생의 장>에서 '내가 행복해지는 방법'(p.p.127-9)에 대하여,

① 내가 상상하는 것만큼 세상 사람들은 나에 대해 그렇게 관심이 없다 - 내 삶의 많은 시간을 남의 눈에 비친 내 모습을 걱정하면서 살 필요가 없다.

② 이 세상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해줄 필요가 없다 - 누군가 나를 싫어한다면 자연의 이치가 그런가 보다 하고 그냥 넘어가면 된다.

③ 남을 위한다면서 하는 거의 모든 행위들은 사실 나를 위해 하는 것이었다는 깨달음

그러니 제발,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 다른 사람에게 크게 피해를 주는 일이 아니라면, 남 눈치 그만 보고,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 하고 사십시오. 생각만 너무 하지 말고 그냥 해버리십시오.

왜냐하면 내가 먼저 행복해야 세상도 행복한 것이고 그래야 또 내가 세상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 우리, 인생, 너무 어렵게 살지 맙시다.

라고 하였다. 사실 나 자신을 들여다보기보다 남들의 눈에 비칠 나의 모습을 더 걱정하고 불안해 하면서 스트레스와 컴플렉스를 쌓고 사는 게 대부분이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면서도 '어쩔 수 없잖아. 혼자 사는 게 아니니까...' 뭐 이런 시답잖은 방어로 합리화하기를 얼마나 쉬이 하였던가? 인생의 주인은 나인 것이고, 어떤 과거나 미래보다도 현재가 중요함을(Here & Now) 재삼 인식하면서 자랑스러운 나를 만나기로 했다. 적어도 주 1회 정도는 나를 스스로 칭찬하고 상주고 자랑스러워 하면서 남의 칭찬이 아닌 나 스스로의 칭찬을 해가기 시작하였다.

작게 일기장에 칭찬의 문구를 적고, 작고 맛난 빵 - 뭐 천몇백원이면 살 수 있는 것이라도 평소에 잘 하지 않았던 - 을 사먹기도 하고, 한두시간쯤 자신을 위해 할애하면서 칭찬을 정말 많이 해보았다.

  그랬더니만, 세상이 아름다와졌다. 눈이 오면 눈이 와서, 비가 오면 비가 와서, 추우면 추운대로...

또한 내게 힐난하고나 비난하는 사람을 만나도 약이 되는 말로 받아들여지고, 나를 칭찬하는 사람에게는 진심으로 기쁘게 받을 수 있었다. 아무도 돌아봐주지 않아도 내 안의 나는 서운하지 않았다. 내가 바라보고 있으니까 - 주체와 객체가 다 내안에 있음을 알고 타자를 위한 경청과 공감의 자세가 적극적으로 발현되기 시작했다.

 

  어떤 일을 당하더라도 그 속의 긍정성을 바라보면서 자존감 높은 나를 통해서 세계를 당당히 바라보고, 또한 희망을 품게 된다. 그리아니하실지라도의 긍정과 희망을 품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