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균, 최후의 19일 1
김탁환 지음 / 푸른숲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가 바라본 허균은 광해군 때의 허균이기보다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적 삶의 모습인 것 같은 느낌이 많이 들었다. '단정하고 아름다운 문체로 기억과 자료를 가로지르며 삶을 탐험하는 소설가 김탁환'이란 소개와 불멸의 이순신을 드라마 속에서 소개받으면서 새로운 작가를 주목해 보게 되었다. 그는 작가후기에서 '지식인이란 무엇인가?'가 이 소설의 화두라고 하였다. 그가 그린 허균이나 광해군 그리고 이이첨은 인조반정후 모두 부정적 인물로 묘사되고 있는 설명도 하면서 말이다. 물론 인조반정을 일으키고 성공했던 서인세력이 바라보는 구체제의 인물군 중에서 성공적인 지식인이 있었을 리는 만무하다. 그렇다고 대외문제나 현실인식이 치열하지 못했던 서인세력이 성공적인 지식인인가 하고 묻는다면 역시 긍정적 답을 확실하게 하기 어렵게 된다. 그렇다면 지식인이란 성공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존재인가? 동서양을 넘나들며 만나게 되는 성공한 혹은 패배했더라도 그 몫과 가치를 빛내고 있는 실천적 지식인들을 알고 있는 우리들의 답변은 그렇게 회의적일 수만은 없다.
무릇 역사소설은 그 시점의 자유로움을 누리되 역사성을 무시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믿는다. 김탁환의 "허균, 최후의 19일"은 관념속에서만 놀고 있던 허균을 만나게 되어 미진하다. 행동하지 않는 양식이란 무슨 의미가 있을 것인가. 아울러 그가 누리고자 했던 사회가 평등성과 공화정의 모습을 띠고 있다면 광해군의 가까이서 이이첨과 함께 정치를 했던 광해의 정치성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겠는가? 많은 모순점을 띠고 있어 독후감을 쓰기가 매우 망설여지는 책이었다. 나는 작가 후기를 옮겨 적는 것으로 만족하고 말았다.
김탁환에 대해서도, 그리고 허균에 대해서도 좀더 정보와 지식을 얻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