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침꽃을 저녁에 줍다
노신 지음, 이욱연 옮김 / 창 / 1991년 3월
평점 :
절판
고등학교때인가? 광인일기를 처음 읽었던 기억, 그리고 대학에 들어가 70년대의 암울한 시기를 비춰주는 등불처럼 읽었던 노신의 글들, 그리고 다시 30년이 지난 지금에 읽어본다. 진행형의 문장으로 한세대에 걸친 변혁의 시기를 설명할 수 있을까? 노신의 글은 주로 192,30년대 반식민지 상황에 처했던 중국을 깨우고 중국과 중국인을 사랑하는 작가의 심정이 물씬 풍기는 글이다. 그런데 역자의 말마따나 지금도 우리의 상황에 유효한 구석이 있음을 느끼게 된다. 그 해결책이 아직도 유효한 듯이 느껴지기도한다. 벌써 3세대가 지나갔고 숱한 변화와 변혁을 겪었음에도 말이다. 좀 아찔하다.
'페어플레이는 아직 이르다'를 베껴보면서 이런 상황들이 온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생각을 해보았다. 70년대의 젊은 시절 내 생각을 그러했다. 용서보다는 정의로운 분노감을 잃지않고 끝까지 행동하는 것이 옳다고 느꼈고 잊지말고 기억하여 정의를 실현하고자 했다. 지금은 좀 다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끼게 된다. 양극화되어버린, 혹은 자기 이기주의에 빠져서 집단적 최면을 앓고 있는 것 같은 우리사회에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정말 필요한 것 같다. 세상에 어찌 하나만 옳은 것이 있을 수 있겠는가? 자신과 다른 상황과 환경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태도는 대승적 견지에서 타협과 해결책이 된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노신의 다음 글이 나온다면, 이런 류의 글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