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갈리아의 딸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지음, 히스테리아 옮김 / 황금가지 / 199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오래 살다보면 남성의 우월한 지위와 상황을 오히려 긍정하고 인정하는게 여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내가 페미니스트로 출발해서 이젠 현실 대타협자가 되어 남성중심의 사고와 행위를 쉽게 인정하면서 사는 것을 보면 말이다. 페미니즘에 대해 다시 관심을 가지면서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궁극적 방향의 하나로 잡고 또 내가 아들만 두고 있는 엄마로서 미래 사회의 성원이 될 내 아이들에게 성차별이 없는 평등한 사회를 심어주고 싶은 사람으로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읽었다.

설이지만 첫장의 출발이 신선한 느낌 - 여자가 당해야 할 고통을 남자가 당하고 있는데서 - 을 받았다. 단지 여성과 남성의 역할이 달라진 모권제 사회의 모습일까? 생각을 하면서 읽었는데 중간중간 많은 생각을 하게끔 하는 부분이 많았다. 성애의 표시나 성기의 표시가 가감없이 이루어지는 것과 그것을 수용하는 개방된 모습도 자유롭게 느껴지고, 하지만 여전히 쑥쓰럽고 불편한 느낌도 든다, 이런 성적인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와 지는 것이 양성성의 평등을 구현하는 길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내 자식에게 언제쯤 읽혀야 할는지 모르겠다. 일단은 여러사람의 독후감을 먼저 전해줄까 싶은 생각이 난다.

많은 점에서 여성의 평등이 확보되었다고 주변의 남자들을 말한다. 오히려 밥상으로 올라가는 시대가 되었다고 농담삼아 자신의 심중을 표현하는 남자도 있다. 우리 사회는 여성이 남성과 동등할 만큼 평등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면 난 부정적인 답을 할 것 같다. 의식의 평등은 많이 찾아진 것 같지만 실생활에서 제도에서 아직도 여성의 평등은 멀었다고 생각이 든다. 좀더 이론적인 페미니즘의 연구를 하고난 뒤에 다시 한번 읽어볼 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