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대중 죽이기
강준만 / 개마고원 / 1995년 2월
평점 :
절판
나는 여론을 주도할 만한 지식인 그룹에 속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지식욕을 사랑하며 사물에 대한 객관성과 합리적판단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여긴다. 또한 충청권을 벗어나지 않고 살고있는 사람이다. 개인적인 접촉이나 이해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김대중신화에 대한 애정을 여전히 갖고 있으며 또한 무조건적인 지지를 보내는 편에 속한다. 또한 절대 불가능하리라 여겼던 정계복귀는 물론 대통령에 당선된 정치상황의 변화도 현실 속에서 이미 수용된 상황에서 나는 이책을 펼치게 되었다.
저자의 다작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호의에서 세권의 책을 읽어보았다. 대중문화에 대한 글과 지식인에 대한 글 그리고 이책인데 공통적인 논지는 언론이 차지하는 자리에 대한 비판의 늘 날카로왔던 것으로 생각된다. 언론의 대중성과 상업주의 공익성의 추구, 그리고 언론과 지식인의 관계 등을 한 매체와 연결지어 확산시켜가는 관심과 영역의 확장성이 다작의 부정적 측면을 커버해 주었다. 그리고 지향해야할 점이 단순하고, 명쾌하게 직설적으로 쓰여져서 좋다. 계속 군더더기말처럼 동일한 주제의 반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천성을 요구하고 있기에 지루한 느낌이 적었다.
본서로 들어가서, 김대중이란 인물을 통해 언론과 지식인이 나가야 할 방향을 밝혔다는 닫는 글이 인상적이었다. 내 사고와 선택의 기저를 들여다보니 저자가 4부에서 인용한 지식인 그룹가운데 낯익은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그건 내가 사회가 지향해야할 점에 대해 무심하게 살면서 아예 지식인들의 말을 들으려고도 하지 않고 '늘 그렇잖아'라는 냉소주의로 일관했음을 반영하고 있었다. 비판자로서의 내 몫의 사명을 감당하지 못하고 무관심하게 살았다는 자아비판도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지역감정에 대한 논제를 일상성 속에서 말할 때에도 역시 양비론적 태도를 많이 보인듯하고 스스로 진보적 사고를 한다고 여기면서도 기실 지식인의 낭만적 지도자론을 들을 때마다 속이 후련한 반론을 한번도 못해본 것 같다.
정치적 혐오증이 팽배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궁극적 행태는 정치'라는 말이 생각난다. 일관성을 가지고 끊임없이 따뜻한 배려를 하며 겸손과 온유를 행하는 인간이고자 원한다면 잠자는 이성과 무지한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