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숲을 거닐다 - 장영희 문학 에세이
장영희 지음 / 샘터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문학의 숲을 거닐다'는 제목의 거창함은 소소한 느낌과 가벼움으로 산책을 하듯이 작은, 주변에 흔히 보이는 숲을 다니다 보면 작은 것들을 발견하는 기쁨과 탄성, 그리고 수다스러운 소란, 지저귐 등을 얻게 되는 것처럼 작은 기쁨들을 얻게 된다.

  대학에서 영문학은 가르치고 있는 저자는, 장애의 어려움을 건강하게 이겨내고 있는 밝은 사람이다. 곳곳에 가르치며 호흡한 학생들과의 이야기가 채워지고 있는 장면들이 따뜻하고 열심으로 학문을 하는 기쁨과 문학의 소명을 탄탄하게 주저없이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성이 강해 보였다. 마치 수많은 금언과 격언의 바다에서 헤엄치는 것처럼 작은 이야기들속에서 소소한 재미를 느꼈고, 부모가 겪었을 아픔과 가족들의 고통도 함께 전해져 왔다.

  특별히 날카로운 글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장애를 겪으면서 수도 없이 부딪쳤을 이야기 한 편이 진한 감동을 불러 일으켰다.

 '마음의 전령 '손''이란  제목이다. 일부를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 일생동안 목발을 짚고 다녔으니 이젠 익숙해졌지만 그래도 가끔 불편을 느끼는 것은 목발 자체가 아니라 걸으면서 양손을 쓸 수 없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가방을 들고 다니지 못할 뿐더러 우산을 쓸 수도 없고, 아무리 잡고 싶어도 어린 조카의 손을 잡고 걸을 수가 없다.

  그건 운전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다리를 쓰지 못하니 왼손은 핸들을, 오른손은 핸드 컨트롤을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운행 중에 휴대폰을 쓸 수 없는 것은 물론 라디오를 켜거나 창문을 내리거나 몸 어디가 가려워도 긁을 수가 없다. 누가 길을 양보해 주면 나도 남들처럼 손을 들어 고맙다는 표시를 하고 싶지만 그것도 못한다.

  몸 가려운 것은 좀 참으면 되고, 라디오를 못 켠다고 해서 무슨 큰 일이 나는 것도 아니지만 그래도 남이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일을 나는 못하니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것은 사실이다.

  글의 성격으로는 도입부분의 하나이지만, 본문의 글보다 더 마음에 와닿았다. 우리가 무심하게 저지르는 잘못은 우리의 멀쩡함을 기본으로 그외의 것을 배제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닌가 싶다. 겸허한 반성을 하면서, 가벼움을 참고 작은 것들에 감사를 하면 다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