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 네루다 자서전 - 사랑하고 노래하고 투쟁하다
파블로 네루다 지음, 박병규 옮김 / 민음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어른의 책상에서 한움큼 집어온 책속에 두꺼운 부피를 자랑한 책이 "사랑하고 노래하며 투쟁하다"란 제목이 붙은 네루다의 전기이다.

  칠레의 작가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된 이미지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꽤 많은 분량의 책을 읽게되었는데, 시인으로 명성을 얻었던 탓에 외교관이 된다는 것이 간디아버지가 정직하고 소박한 분이란 이유로 수상직을 맡았던 만큼이나 소박해보인다.

  외교관이었던 탓만은 아닐진대, 세계의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며 많은 지성과 예술가들과의 교유가 이루어지고, 또 민중에 대한 사랑과 삶을 발견하고는 그 언저리를 떠나지 않았던 다작의 시인, 노벨상 수상자, 성애를 느끼고 숱한 여성들과의 하룻밤의 사랑도 불같이 나누었던 모습하며, 공산당으로서의 삶과 시인으로서의 감성이 혼란스럽지 않았을까 싶은 좀처럼 상상이 안되는 인물이다.

  그런데 그 작품을 읽고 싶어도 못 읽는 2008년의 대한민국, 이데올로기의 종언을 고한지 얼마나 많은 시간이 지났는지, 여전히 이데올로기의 틀 속에 꽉 닫혀버린 우리들, 고단한 사람들

  옮긴이의 말 한도막으로 끝을 맺자.(다시금 책 속으로 나를 끌어들인 그에게 감사하면서...)

…… 네루다의 회고는 공정하지도 않고 포괄적이지도 않다. 서문에서 네루다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네루다의 기록은 “듬성듬성”하다. …… 네루다에게 시는 삶의 전부였다. 시가 무언지도 모를 때부터 시를 노래했고, 암의 고통 속에서 죽어가는 순간에도 시를 구술했다. 죽기 바로 전날 네루다를 찾아간 변호사 피게로아의 증언에 따르면, 네루다는 책 한권 들 힘조차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비서 오메로 아르세가 병실 한 구석에서 정서해 준 초고의 교정을 보고 있었다고 한다.
이처럼 네루다를 끊임없이 노래하게 만든 영감의 원천은 무엇이었을까? 대자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