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박스 세트 - 전2권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 신윤복의 가계를 추리하여 4대째 도화서의 화공으로 머무는 필력있는 집안과 이재에 밝은 부(父) 신한평, 헌신과 희생을 일삼으며, 동생을 위해 사화서로 가서 색을 창조하는 형 영복 그리고 천재화가 신윤복을 설명함

- 김홍도와 신윤복을 천재끼리의 갈등을 넘어선 대결과 사랑의(혹 애증의) 구도로 잡아가면서, 윤복을 위에다 올려놓으려니까 빚어지는 문제, ‘주사거배’에 대한 설명과 한낮의 술타령, 그에 대한 정풍이라? 이건 무슨 현대판 숙정작업인가?

- 도화서의 틀과 정형성은 왜 비판 받아야 하는가? 도화서 출신의 김홍도와 신윤복이 풍속화를 그릴 수 있었음은 도화서가 품고 있는 잠재력과 시대의 반영이다.

- 당파싸움으로 찌든 상황으로 시대적 배경을 삼고 있음. 그런데 영․정시대라니...?

- ‘유곽쟁웅’에 대한 설명 역시 탈역사적임. 사내들이 여자를 차지하기 위한 익숙한 싸움, 마치 명예를 건 싸움이라고 하지만 기생집에 가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으며, 특히 점잖은 문인 양반이 기생집을 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음. 오늘날 요정정치를 하듯 기생정치를 한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은 역사적 사실이 아님

- 정조가 신윤복과 김홍도를 데리고 벌인 어진화사와 그림을 찢는 행위, 그리고 출원을 막지 못하면서 거리의 화원이 되라는 당부 등

<2권>
- 사화서 : 신한평과 윤복의 관계(김홍도의 친구 서징의 자식 - 그림자놀이)
시전상인 김조년의 문하에서 (연소답청, 주유청강)
계속되는 화사대결(김홍도의 빨래터, 계변가화)
- 비밀의 그림 : 복초지 기술 - 초지의 결을 바꿔서 2겹을 바르는게 보통이나 얇은 것은 3-4겹 가능
(김홍도의 그림감상), 살인자의 얼굴 합치기, 장헌세자의 초상
- 달빛의 여인 (월하정인-포도군관, 남색끝동(남편이 있음을)과 자주옷고름(자식이 있음)의 흰옷여인, 기녀)
月 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 달빛 어스름한 야삼경에, 두 사람의 마음은 두 사람이 알겠지
歡情未洽天將曉 更把羅衫向後期 보내는 정 아쉽기만 한데 하늘은 밝아오네, 다시금 옷자락 붙잡고 뒷날의 기약묻네 (선조때 김명원)

- 그림의 얼굴(黃猫弄蝶圖-호랑나비, 패랭이꽃 5, 누런고양이) 그림이 글씨를 대신하는 것으로 김홍도가 신윤복에게 설명하는 형태를 띠고서.... 그림을 그림으로 보는 것이 근대이건만,
(예)
고양이, 나비|| 묘접은 耄耋(모질)과 음이 비슷 | 고희를 의미, 묘접도→모질도
갈대, 기러기 || 蘆(갈대)雁(기러기)은 老安으로 | 노인의 장수를 축하하는 노안도
포도덩굴(蔓帶) || 만대를 萬代로 해석 | 자손만대
버드나무, 오리 2마리 || 柳를 留로, 鴨의 파자 甲 |장원급제의 행운이 머무르기를...
모란, 목련, 해당화 || 화중지왕, 玉蘭花, 海棠花  | 富貴玉堂
모란, 장닭|| 닭의 共鳴을 功名으로 | 富貴功名
새우(등이 굽어 바다의 늙은이라) || 海老를 偕老로 | 백년해로
소나무, 불로초 || 新年(소나무)如意(불로초) 용 |신년축하용

- 김조년에게 보내는 신윤복의 도전장(月夜密會, 離婦貪春) - 김조년의 죽음을 예감하게 하는...
- 마지막 대결 : 색을 볼 수 없는 청록색맹(김홍도)와 남자의 심리를 모르는 여인(신윤복)이라...
- “……그림은 색으로만 그리는 것이 아니니 선과 면과 그로써 이루어지는 형태와 먹의 농담과 필법과 기세와 운율과 그 안에 담은 뜻이 모두 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니 내가 색을 보지 못한다 하나 염려하지 않는다.” (p.184)
- 쟁투 : 씨름도와 검무
- 씨름도 : 동심원 구성으로 구경꾼 배치, 중간의 여백에 씨름꾼을 놓아 시선을 집중, 벗어놓은 발막신과 짚신은 동심원 구도를 완성하는 백미, 오른쪽을 비워놓음으로써 화면의 긴장과 역동성을 화면 밖으로까지 확장, 엿장수의 시선만 밖으로 향함으로써 보는이의 시선을 바깥으로 유도하여 화면을 무한대로 확장 - 안정감과 변격이 팽팽하게 싸움 / 화원의 시점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구경꾼의 시각 + 위로 올려다본 씨름꾼의 시각, 화원은 앞쪽에서 바라보는 시각으로 씨름판의 전경을 그리며 구경꾼의 입장이 되어 씨름꾼들을 올려다봄으로써 시선을 집중시키면서 힘찬 느낌을 줌 / 위쪽에 13명의 구경꾼 아래쪽에 6명을 배치 각양각색의 얼굴모습과 표정으로 다양한 느낌을 주어 왁자한 장터 씨름판의 분위기를 훌륭히 살림 / 누가 이겼는가? 그림을 등진 사람(화면 아래쪽의 두구경꾼의 표정에서, 손이 뒤바뀜) (pp.195-201)
- 쌍검대무도 : 가로 3등분(상 7명, 중 2 검녀 배치, 하 7명), 두 여인이 보여주는 약동성과 색채의 현란함 / 누가? 푸른 치마를 입은 여인이 진 것(몸의 중심이 흐트러짐) / 정중동을 묘파하였으며 여성적이면서도 강렬한 시각적 긴장감을 제공(pp.202-209)

- 무동 신명을 표현하기 위한 힘찬 거침없는 형세, 관절이 꺾이느 srht에서는 머물러 가한 힘을 드러냄. 소년의 곧추세운 발 끝에 모인 힘은 이 그림의 중심이자 시발점이며 모든 힘이 모이는 자리, 소년은 힘껏 하늘로 솟구쳐오를 수 있는 완결성을 보여줌 (pp.244-249)

- 여자인 신윤복의 미인도 살짝 정면에서 방향을 틀어선 앳된 얼굴 둥글고 반듯한 이마, 단정한 실눈썹과 수줍은 듯 시선을 피하는 맑고 고운 눈매, 다소곳한 콧날과 작지만 그래서 더 매혹적인 입술을 지닌 단아한 미인, 살짝 들린 얼굴은 수심에 잠긴 듯, 누군가를 기다리는 듯, 복잡한 속마음을 드러내고 있었다. 단정하게 빗어남긴 윤기나는 머리카락 위의 탐스런 가채는 여인의 당당함을 말해주었다. 보송거리는 왼쪽 귀멑머리는 앳된 순수함을, 귓전의 자줏빛 댕기는 발랄한 젊음을 보여주었다. 옷자락이 짧고 소매가 좁은 삼회장 저고리는 단아한 어깨를 감쌌고, 배추잎처럼 부푼 담청 치맛자락은 풍성함을 더해주었다. 주름진 치맛자락 아래로 살짝 드러난 외씨버선은 금방 돌아설 듯 아슬아슬했다. (pp.244-251)

  재미를 더하는 플롯과 풍부한 풍속화의 내용이 더없는 눈요기 거리이기는 하나 역사성과는 상치되는 곳곳의 소설적 구상에서 아슬아슬한 위기감을 느끼게 되었다. 아무리 소설이라지만, 형상화된 역사적 인물에 대한 비틀기는 왜곡의 정도를 벗어난, 새로운 인물을 창조한 느낌이 들고 신윤복을 여자로 상정하는 작가의 상상력을 놀랍다고 해야 할지 개념이 없다고 해야할지 판단이 안서는 작품이었다. 혹여 사실과 상상을 독자들이 맘대로 넘나들게 되면 어쩌나 걱정도 해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