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ㅣ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같은 텍스트를 가지고도 책이 이렇게 다를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강추!!!
여러 모로 사랑과 애정을 가지고 껴안았던 흔적이 많이 나타나는 작품이다.
박지원의 초상을 보면서 한껏 애정과 존경의 염을 가질 수 없었으나 다산과 연암의 교차는 생각지도 못했던 시점을 제시해준다.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실학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만나지 않았다는 추론은 긍정적이다. 당시의 당파를 생각해본다면 노사모와 박사모의 왕팬들이 서로 만나서 화해하기 어려운 것보다 더한 깊은 골이 파였던 것 아닐까? 만나지는 않았어도 18세기의 문화를 장식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이 한 방향을 향해 서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었다.
문체반정에 대한 이야기도 정확한 개념이 잡혔다. 중종반정이나 인조반정과 마찬가지로 정확하게 바르게 되돌린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문체는 체제가 지식인을 길들이는 가장 첨단의 기제...따라서 문체는 지배적인 사유를 전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서야 할 '문턱'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는 고문이 바로 그런 역할을 담당했다. 태어나 문자를 익히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모든 지식인들은 고문을 습득하기 위한 훈련에 진입한다.앎은 곧 고문으로만 표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멍말 청초의 문집이 유입되면서 고문과는 전혀 다른 이질적인 언표들이 번성하게 된 바 소품문, 소설, 고증학 들이 그것이었다.'라고 밝히면서, 소품은 경박한 스타일 때문에, 소설은 황당무계한 허구성 때문에 고증학은 쪼잔한 시야때문에 고문의 전범들을 와해시킬 우려가 있다고 정조는 생각했다고... 촛불로 태워버릴 뻔 한 이야기들도 반대편의 학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가까운 이웃에 의해서였다고....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한 애증이 나에겐 있다. 주객의 해체라는 점에서 얼핏 인정하면서도 낯설음으로 인해서 던저지는 거리감, 게다가 봉상스 외에는 낯설은 리좀, 그밖에 잘 모르겠는 단어들- 참고 읽어가기가 껄적지근하였다. 단어도 그냥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되어진, 사고의 집약이 아니겠는가.
한번쯤 더 읽고 싶은 책, 그리고 그의 길을 가보련다. 열하일기도 완역본이 어서 나왔음... 기다린다. 사 볼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