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 -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지음 / 푸른숲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전형적인 농촌의 한적함과 여유로움을 가졌을, 수몰지구 할머니의 집과 어부가 된 작은 아들이 사는 빈한한 어촌마을을 자유롭게 뛰어노는 진도개 한 마리의 눈을 통해 세상을 그려보고 있다.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이란 부제가 붙어있는 김훈의 이 장편소설은 곳곳에 버려진 강토에서 주인없는 개들이 울부짖는 소릴 들으며 '발바닥에 새카만 굳은 살이 박혀있는 개들이 제 몸의 무게를 이끌고 이 세상을 싸돌아다닌 만큼의 고통과 기쁨과 꿈이 축적'('작가의 말' 중에서)되어 있음을 느꼈고 세상은 여전히 고통 속에서 눈부시며 인간이 인간의 아름다움을 알게 될 때까지 작가는 짖겠다고 하였다.
어렴풋이 바라보노라면 작가인지 읽는 나인지 아님 개인지 모를 정도로 느낌이 일체가 되는 장면이 많았다. 시야의 열림때문일까 아님 개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 같지만 역시 인간의 눈으로 살펴보는 탓일까 그도 아니라면 그의 글솜씨를 좋아하는 나의 취향때문인가 딱히 알 수 없으나 굳이 분별하지 않으면 또 어떠리?
경운기 모터를 가지고 만든 작은 배로 적은 고기를 낚아 올리던 영희의 아버지가 몰려온 고기떼를 쫓아 멀리 바다로 나아갔다가 물때를 놓치고 돌아오지 못하여 바닷속에 수장된 추석날 이후 이사 정리를 하고 1주기를 넘긴후 큰 아빠네가 있는 도시로 이사를 갔다. 작은 분교의 맏언니로서 반듯하고 자유로우면서 공동체의 리더역할을 잘 하던 영희가 생각난다. 다행히도 큰 아빠 집 곁으로 엄마와 함께 갔으니 70년대 우리세대가 겪었던 것같은 비참한 가난은 겪지 않겠지.... 어쩌면 닥쳐온 고난은 영희와 그의 가족들을 강한 유대와 연대의식을 느끼게 하리라!!! 주인공 보리는 다시 주인잃은 개가 되었고 다섯살의 장년이 된 그의 앞날은 밝아보이지 않는다만 얄팍한 등가죽과 퀭한 눈으로 가난한 발바닥을 딛고서 이땅을 지키고 있을 것이다.
땅을 사랑하는 할머니도 좋다. 김장 배추를 다 넘기고 할머닌 영희네와 큰아들네를 오락가락하겠지만, 노는 땅에 쪼이는 햇볕이 아까와, 땅을 놀리면 벌받을까봐(138쪽) 버려진 땅 조각들을 일구어 밭을 만들고 있으시겠지
눈에 띌만한 미모와 부와 명예가 없어도 넉넉한 가난으로 가까운 이웃이 되어 다가온다. 보리야! 어여 와 밥 먹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