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은희경 지음 / 창비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랫만에 소설을 집어들었는데... 낯익은 은희경의 소설이 눈에 쉽게 뜨여서 읽게 되었다. 쉽고 부드럽고 쓱쓱 읽히는 소설을 원했는데, <의심을 찬양함 - 고독의 발견 -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 날씨와 생활 - 지도 중독 - 유리 가가린의 푸른 별>로 이어지는 짧은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구토를 하듯 싫증을 내면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사람들이 현실처럼 어슬렁 거리는 느낌이 들었다. 80년 광주와 젊음을 함께 보낸 사람으로서 90년의 젊음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엔 관심 둘 거리를 발견하지 못한 상실이 존재했었다.

제길헐, 삶은 왜 이다지도 칙칙하다냐?  소설조차도...

  문학평론가 신형철의 말이 눈에 띈다. '이 소설집에 실린 작품들로 말하자면, 질문과 고민이 응축되어 있는 이야기인 채로 아름답고 낯설고 (섣부른 전망을 거절한다는 의미에서) 끝내 허망하기까지 하다. 한 단어도 빼놓지 않고 다시 적겠다. 아름답고, 낯설고, 허망하다. 초기 은희경의 소설들은 면도칼 같아서 읽는 중에 여러 번 당신을 긋고 지나갔을 것이다. 그것은 기꺼이 즐길 만한 통증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그녀의 소설은 칼이 아닌 척하는 칼이어서 당신은 베이고 있는 줄도 모르는 채로 깊이 베이게 될 것이다. 쉽게 알아보기 힘든 어떤 힘이 밀고 들어와, 조용히 빠져나가고, 마침내 피 흐를 때, 비로소 당신은 거것이 칼이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면도칼도 못되는 소설들의 중구난방 속에서 오랜만에 느끼는 묵직한 통증에 경의를 표한다.' (224쪽)

  나이를 먹어가면서 안정성이란 이름으로 얻어지면서 상실한 것들에 대한 어슴푸레한 기억들, 아까운 청춘이란 이름도 붙지 않게된... 낯설음 그것이 허망함으로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