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탄생 (2disc) - 아웃케이스 없음
김태용 감독, 문소리 외 출연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오아시스>의 문소리씨도 봤다.
근데 <가족의 탄생>에서의 문소리씨를 내가 본 최고의 연기라고 말하고 싶다.

국제영화제에서 상까지 받았던 영화를 제쳐두고 무슨 소리냐고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오아시스>에서의 문소리씨는
내가 수용할 수 있는 이상의 것을 보여줘서인지
인지가 되지를 않았다.

그저 놀라울 뿐이었지.
몇년이 지난 지금에 다시 봐도 여전하니....

<오아시스>의 문소리씨는 아직까지는 논외로 두고 싶다.

그리고 또 뭣, 뭣을 봤든지 간에
<가족의 탄생>으로 난 그녀가 최고라고 감히 말하겠다.

"미라"라는 여자는,
문소리씨가 아니어도 될 역이었지만
문소리씨라서 탄생 되었던 역.

그래서 문소리씨여야만 했던 역이기에
그것만으로도 별 다섯개는 먹고 들어간 영화이다.

 

물론 문소리씨만이 뛰어났던건 아니다.

산전수전 다 겪었을 것 같은데
또 다시 엉터리 선택을 하고 만듯한 "무신"역의 고두심씨.

너무 잘난 엄마 덕에 외롭게 자라야만 했던 현실주의자 "선경"역의 공효진씨.

천사표 애인을 둔 죄로 질투와 소심남의 딱지를 달고 살아야 하는 "경철"역의 봉태규씨.

혼자서 사고는 다 치고 다니면서 정만 넘치는, 다소 개념 없는 "형철"역의 엄태웅씨.

그밖에도 아역이나 단역에 출연하는 연기자 모두들이 가히 훌륭했다.

정말 연기는 삶이자 예술임을 보여준 영화였다.

 

<가족의 탄생>에는 두 패턴의 가족이 나온다.

"미라"네의 가족은 혈연관계가 없다.
물론 "형철"은 "미라"와의 혈연으로 묶였지만
한솥밥을 먹고 같은 지붕 아래 살지 않는 가족이다.

그리고 "선경"네는 나이 차이 많이 나는 남동생과 누나 단둘이다.

 

이 두 가족은 일반적인 가족 구성에서 많이 비켜간 모습이다.
사회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등한시 하는 가족인데,
그 어떤 가족보다 이해와 신뢰로 뭉쳐져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고 이들이 처음부터 단란했던 모습은 아니었다.
동생의 여인으로서는 지나치게 연상이었던 여자를 올케로 받아들이기에는
아무리 순진한 그녀라도 당황스럽지 않았을까.

거기다 일만 벌렸지 수습이 안되는 동생이
시시때때로 관계를 복잡하게 만든다.

일이 이 지경까지 이르면
하나 밖에 없는 동생일지라도 외면하고 싶어질테지.

 

남자한테 인기 많은 여자는 부럽다.
한데 그 여자가 자신의 엄마라면... 어떨까....

모든 사랑은
엄마의 남자와 나이 어린 남동생에게만 쏠렸다고 믿는
"선경"은 좀처럼 엄마를 용서하지 않는다.

그래서 엄마의 사랑은
간단하게 불륜이라는 명목하에 행패를 부리고
자신의 사랑에게마저 쌀쌀하게 벽을 만들고는
상대를 떠나게 만들지만

"선경"은 엄마의 가방을 열기 까지는
그 누구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며
스스로 피해자의 멍에를 지고있다.

 
내게 하나 뿐인 여자친구인데
왜 자신은 그녀에게 다수 중 하나일까.

이런 불만에서 시작된 질투와 외로움이
"경철"을 소심하고 거친 남자로 몰아부친다.

나도 너무 정이 넘치는 "채현"이 이해가 안가서 여자가 잘못했네, 그랬는데
그녀가 바로 "미라"와 "무신"이 키운 "채현"이라는걸 알면
그녀의 넘치는 정이 어디서 기인했는지 다소마나 이해가 될것이다.

 

영화 내내 반복되는 대사가 있다.
"네가 어떻게 나한테 이럴수 있어"

"대체 나한테 왜 이래"  : 딱 정확하지 않지만 이런식의 의미를 담고 있는 대사가 종종 나온다.

누구나가 한번씩은 해봤을 말.
그러나 누구에게나 쓸수 있는 말은 아니다.
오직 가족에게나 가장 친하다고 여기는 연인 또는 친구에게만 가능한 말.

 

가족이나 연인에게 상처 받았을 때 사랑해 주세요, 라는 말대신
방어기제로 쓰는 말이 아닐까.
난 널 이만큼이나 사랑하는데 그런 나한테 이러지 마, 라는 의미로.

 

서로가 어쩔수 없게 상처를 주면서도
결국은 뒤엉켜 등을 쓸어주고 밥을 해주고 두눈을 맞춰주고
서로 보물임을 알아주는게 사랑이고,
가족은 그 사랑의 원천임을 깨닫게 해주는 영화였다.

빼어난 영상미도 없었고 미남미녀가 작렬하는 영화도 아니었지만
아주 따스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본것만 같다.

 

영화의 첫 시작에 엄태웅이 철문을 삐거덕 열고 들어오면서 그런다.

"뭐해, 들어와"

그 집 문을 들어서고
받아들여지면서
가족의 탄생은 시작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날개 2006-07-12 2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안 본 영화인데.. 꼭 봐야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