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20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도 오랫동안 읽은 책들에게 배신 당했다. 그래서인지 요즘엔 여간해서는 재미있어 보이는 책도 믿지 않는다. 일단 '별로일거야'라고 의심을 하고 읽어야 정말 그랬을 때 실망이 덜 하니까. 특히 일본 소설에 대한 실망은 상당히 컸다. 가벼움이 무기인 일본 소설. 그게 너무 심해지면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 된다. 읽긴 읽는데 읽는 중에도, 읽고 나서도 허망하고 종이를 넘긴 시간이 아깝기 까지 하니 말이다. 게다가 나처럼 읽고 싶은 책은 산더미인데 읽는 속도가 안따라주는 사람은 한 권의 책이라도 알뜰살뜰하게 참기름 한 방울처럼 쥐어짜내며 알참을 요구할수밖에 없다. 실망이 거듭되니 아예 기대를 하지 말자는 쪽이 되어버려서 이번에도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라는 통통튀는 제목의 책을 쥐고도 '흥-' 으로 일관했다. 책장에 꽂은지 며칠이 지나서도 의무적으로 '저걸 읽어야하는데' 했을 뿐 일부러 훨씬 최근에 내게 온 책부터 읽곤 했던 것이다.

 

 요즘 이 책을 많이 읽는듯 해서 나도 이 때 읽지 않으면 영영 읽지 못할것 같아 어제 밤에 펼쳐들었다. 책 띠지에는 '리얼리티와 판타지를 오가는 지브리 애니메이션풍 초특급 청춘소설'이라도 으쓱으쓱 하는 문구가 있다. 절대 안 믿는다 이런 문구 따위! 한번 더 흥! 하고는 내 멋대로 읽기 시작.

 

 같은 클럽의 대학 1년 후배 여학생을 좋아하는 남자주인공은 확실하게 들이대는 것도 아니고 멀뚱멀뚱하니 여자 주변을 맴돌면서 우연을 가장해 필연을 만들고자 고군분투한다. 딴에는 남자답게 좋아하는 여자에게 고백하고, 그 여자가 위험에 처해 있을 때 멋지게 구해주고 싶지만 여자 앞에서는 한 없이 작아지는 그. 말하자면 자기 마음을 고백하고 본격적으로 연애를 하면 좋고, 하는 식으로 여자의 주변을 맴돌기 시작한다.

 

 남들이 자기 손을 귀엽다고 하면 '단연코 풀빵 쪽이 훨씬 귀엽지요'라는 여주인공은 내가 봐도 사랑스럽다. 곧이어 이 여학생을 좋아하는 남자주인공 조차도 그녀가 살짝 주먹 쥔 '친구펀치'를 보고 '찹살떡 같은 주먹'이라 표현한걸 보면 그 손 모양이 어떨지 짐작 간다. 조근조근하는 그녀의 말투는 띠지에서 말했듯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속 꼬마 주인공 처럼 귀엽기만 하다. 그런 순진무구함이 소설의 판타지적 요소를 더 부각시킬 수 있었던 듯하다.

 

 소설에서 남자가 좋아하는 여자 뒤를 졸졸 따라 밟으며 일어나는 에피소드는 사람의 인연이 얼마나 사소한 것에서 엮이는가,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신기한가를 보여준다. 밤 동안에 본토초 거리를 걷는 동안 이상야릇한 사람들을 만나고, 그 만남은 남자와 여자 각각 다르지만 그것이 나중에 두 사람이 함께 돌이켜보면 묘하게 일치되는 경험이 될거라는 생각에 소설 밖에서 지켜보는 내 마음도 두근거렸다.

(본토초 거리는 지브리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장난기 많은 요괴 소굴 같은 곳이랄까.)

 

 순간순간 등장하는 작가의 재치있는 설정이나, 동화속 이야기를 보듯 한 판타지적 요소, 그리고 주인공의 순진함 때문에 빨려들어가듯 책을 읽었다. 특히 작가가 사용하는 단어 중에는 앞서 말한 풀빵같은 손이라거나 찹살떡이라거나 친구펀치(엄지가 안으로 가도록 쥔 주먹은 밖으로 가게 쥔 주먹보다 약하게 쥐어져서 친구의 마음으로 때릴때 유용하다는 ㅋ) 같은 것들은 다 자란 나의 가슴이 막 간질거릴 정도로 귀엽다. 설탕 바른 사과 사탕이나 어떤 것보다 단 맛이 나는 꿀 감기약도 그렇다. 주인공 외에 등장하는 인물은 요상하지만 매력있고 친근해서 한 편의 발랄한 뮤지컬 속에서 춤추고 노래하는 사람들 처럼 경쾌하게 느껴진다. 개인적으로는 영화 아멜리에에서 아멜리에의 모습을 보며 느꼈던 것을 이 책 속에서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허세 부리지 말고 일기일회(일생 한번의 인연)를 즐겨'라고 쿨하게 던지는 문장들을 읽으면 소설 책을 읽으면서 이토록 가벼운 마음으로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 싶다. 술 취한 아저씨가 여주인공에게 은근히 기대며 주무른다거나, 변태 아저씨들이 모여서 춘화를 보고 므흣해 하는 것(이 마저도 개그 요소로 변해버려 전혀 변태스럽게 느껴지지 않지만)만 순화시키면 아이들을 위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도 재미있지 않을까 싶다.

 

 정말이지 오랜만에 즐거운 마음으로 흥겹게 책을 읽었다.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어린아이 같은 면은 늘 지니고 살아가기 마련이다. 그래서 나는 어릴때도 그렇고 지금도 월트디즈니 만화라거나 스파이더맨 시리즈 같은 걸 좋아한다. 그런 어른들의 허한 동심을 쏙쏙 채워줄 수 있는 소설이 바로 이것이라고, 그런 의미에서 누구든 한번 읽어보라고 추천하고픈 책이 나타났다. 아- 기뻐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꾸물꾸물 2008-09-24 1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참 재밌게 읽은 책인데...서평 잘 봤습니다~~!!^^ (추천도 했어요...생색..ㅎㅎ)

길고양이 2008-09-25 12:22   좋아요 0 | URL
꾸물꾸물 님 반갑습니다^^
평이 좋은 책인데 저는 기대를 안하고 읽어서 더 좋았던것 같아요^^
추천 감사합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