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 평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데리다 평전 - 순수함을 열망한 한 유령의 이야기
제이슨 포웰 지음, 박현정 옮김 / 인간사랑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1. '그라마톨로지'도 안 읽고 평전을 읽다 

이 책의 저자는 영미권 학자이면서, 데리다의 입장에서 그를 둘러싼 논란을 적극 해명한다. 그런 과정에서 나오는 표현이 바로 '그라마톨로지' 등 데리다 저작도 읽지 않은 상태에서 데리다의 철학을 반대했다는 것이다.  

그렇다. 나 역시 데리다의 저작은 후기 저작으로 분류되는 '마르크스의 유령등' 이후의 몇 권이 고작이다. 저자의 표현에 따르면 초기부터 후기까지 '해체'의 일관된 철학적 전략에 충실했던 데리다의 여정에 끝 부분만 훔쳐본 셈이다. 그런데, 평전이라니...  

이 평전은 인물에 대한 스케치가 아니라, 저작의 통사를 중심에 놓은 '데리다 철학사'에 가깝다. 인물은 지적 행보에 가려지고, 남는 것은 무시무시한 지적인 여행기인 셈이다. 

2. 데리다는 '무엇'인가 

   
 

 그러나 앞선 철학적 조류에 맞추어 넣는 방식으로는 데리다의 독특한 읽기를 제대로 자리매김할 수 없다. 그때 그들은 데리다의 윤리학, 순수함과 최상의 것을 향한 그의 열망, 또는 미래나 존재자들의 본질에 대한 통찰, 그리고 민족주의에 대한 데리다의 관심이나 그가 과거와 맺었던 관계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다. (24쪽)

 
   

 저자는 그동안 '데리다'에 대한 영미권 학자들의 읽었던 데리다를 '제자리로 돌려놓기' 위해 평전을 쓰는데, 그것은 위에 인용한 글의 정반대를 실현함으로서 그렇다. 그래서, 연대기적으로 데리다가 작성한 문헌들을 따라가며 이를 씨줄과 날줄 삼아 데리다라는 하나의 철학적 초상을 직조해낸다. 

그런데, 이런 저자의 데리다 읽기는 이 땅에서 나는 나에게 '낯선 대상'에 대한 '사용 설명서'를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 나름의 동시대성을 가지고 있느나 그것을 전혀 자각할 수 없었던 자로서 데리다는 그저 정체불명의 '물건'일 뿐이다. 그래서 이 책은 2중, 3중의 복잡한 문턱을 가지고 있다.  

3. 불필요한 변명과 충실한 문헌조사 

이 책에서 드러나는 데리다는 냉정한 해체의 마법사가 아니라 끊임없이 고정된 것들의 진동을 드러내는 윤리적 교사의 모습이다. 정신분석학에서부터,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평생의 주제인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문제의식은 모두 열려있어 보이는 것의 닫힘을 드러내기 위한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런 것은 데리다가 '원하는 방식'이었을 뿐 그것이 데리다 철학의 원본인 것은 아니다. 이를 테면, 데리다 철학이 해체라는 이름으로 미국의 문학이론가들에게 열정적으로 받아들여진 일이나, 나치의 유태인학살을 거부하는 신수정주의적 경향의 근원에 해체주의가 영향을 미친 것과 같은 것 말이다. 

그래서 에코는 해체가 일종의 잡종적 산물(218쪽)이라고 말하고, 그렇기 때문에 프랑스나 유럽에서는 자리를 잡지 못했던 데리다 철학이 잡종 문화의 상징인 미국에서는 하나의 학파를 형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해체주의 경향의 이론가인 폴 드만이 사실상 반유대적 경향을 지니고 있었던 '필화사건'에서 데리다가 드 만을 옹호한 것, 그리고 이스라엘에서의 강연에서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점령을 옹호한 일 등은 데리다 철학의 이론적 자장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데리다의 미국 문화에 대한 편향은 분명히 그의 정치적 이해관계와의 상관성에서 파악되어야 한다(부분적으로 220쪽에 이런 측면이 나와있기는 하다). 

그런데, 저자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좀더 완벽한 데리다의 초상인 듯하다. 즉, 상반된 지향으로 기워진 알록달록한 모습이 아니라 하나의 색깔이 채도를 달리하는 그림으로 그려내고자 하는 의도가 너무 강했다. 그런 점이 못내 앞서 언급한 데리다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저자의 이해관계가 껄끄로웠다. 

하지만 이 책의 미덕은, 이런 좁은 의미에서의 개인사적 의미가 아니라 여전히 제한적으로 알려진 데리다 철학의 문헌사적 치밀함에 있다. 솔직히 처음 듣는 책이나 논문의 제목과 그 내용의 요약을 읽는 것은 참 지루하고 어려운 과정이다. 하지만 그의 80년대 대표작인 '우편 엽서'가 일본 철학자 아즈마 히로키를 통해 역수출되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비추어 보면, 이런 치밀한 평전의 출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4. 기준제작자로서 철학자 

   
  '철학자'는 우리의 철학적 유산들이 아직까지 우세한 사법적이고 정치적인 체계의 구조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 너무나 명백히 변화를 겪고 있는 이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그리하여 실용적이고 실효성 있는 결론들을 이끌어내는 사람들일 것이다. '철학자'는 '이해하기'와 '정당화'를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학을 추구하는 사람들이다. (455쪽 재인용)  
   

 어쩌면 이 책은 데리다의 철학하기에 대한 주석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저자의 이해에 구애받을 필요가 과연 있을까 싶다. 하지만, 위에서 인용된 데리다의 철학자에 대한 정의는 왠지 매력적이다. 이해하기와 정당화를 구분하는 것, 그것이 바로 해체의 윤리학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