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콜리 평원의 혈투
이영수(듀나)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한겨레 북 섹션에 실린 서평에 의하면 듀나는 우리나라 장르문학의 대표주자라고 한다. 듀나의 단편소설집『브로콜리 평원의 혈투』를 읽고 나서 든 생각은, 이제 국내작가의 SF소설은 다 읽었군, 이었다.
한마디로 책 본문의 문장을 빌려(p.341,「디북」), '듀나의 상상력엔 내가 의미를 읽을 수 있는 세계관 따위는 없어' 라고나 할까.
배경이 미래이고, 첨단 과학에, 사이버, 돌연변이, 유전공학 등등 관련 용어만 늘어놓으면 SF인가?
관련 장르가 활성화되고 이미 오래전에 정점에 오른 서양 SF로부터 빌려온 듀나의 SF 상상력은 새로운 세계로 확장은커녕 작가의 독자적인 세계관 구축에 실패하여 매트릭스 키드에 머물고 만다. 당연히 재미도 없고 감동도 없고.
열세 개의 단편은 읽는 내내 남의 꿈 얘기를 듣는 것마냥 지루하고 따분하고, '지금 내가 뭘 하고 있는 건가' 시간 낭비일 뿐이라는 회의와 씨름하게 한다. 하긴 책 말미에 '꿈보다 해석'인 모평론가의 작품해설도 있다. 도대체 어떻게 읽으면 이 책에 저런 해설이 가능한지, 작품해설이야말로 이 단편집에서 읽을 수 있는 가장 뛰어난 SF였다.
사족 하나 더. SF인데 굳이 등장인물이 서양인이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진심으로 궁금하다. 외계인 우주선은 미국 상공에만 나타난다더니 SF문학 너마저도!
나아가 브루스 윌리스 주연 영화 <써로게이트>의 상상력을 떠올리게 하는「디북」은 등장인물들이 온통 서양인인 건 물론이고 에너지 혹은 신경망(계)인 화자의 목소리가 지나치게 인간적(humanity)이어서 나도 모르게 웃고 말았다. 단편 전반이 다 그렇다. 기껏 진화와 변이를 통해 출몰한 전혀 새로운 유형의 종족이 지나치게 '인간'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