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리만자로의 눈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에 따라 작품의 의미가 전혀 달라진다는 것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원문을 읽지 못하는 영알못에게는 출판사의 번역에 의존한다. 책의 말미에 있는 <빗속의 고양이>의 기존 작품 번역과 비교 번역문을 보며 수많은 명작이 쓰인 영어를 제대로 공부해 보고 싶다는 욕구가 밀려오지만 게으름의 끝판왕이 해낼 수 있을지... 인친님 중 한 분이 올해는 원서 읽기에 도전한다는데 동참해 볼까 고민을 해 봐야겠다.


노인과 바다로 너무나 유명한 헤밍웨이의 단편들은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단편들은 문체가 짧고 간결해서 읽기가 쉬웠다. 하지만 그의 글은 <빙산 이론>으로 함축되어 있는 작품들이라 문장 그대로 받아들이면 작품을 읽고 나서 '뭐지?'하고 갸웃한다.


헤밍웨이의 <빙산 이론>은 <나는 늘 빙산의 원칙에 따라 글을 쓰려고 노력해요. 우리 눈에 보이는 부분마다 물밑으로는 8분의 7이 있죠. 아는 건 뭐든 없앨 수 있어요. 그럴수록 빙산은 더욱 단단해지죠. 그게 보이지 않는 부분입니다. - 헤밍웨이의 말/ 마음산책>에서 나왔다. 그는 내용의 8분의 1만 드러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한다. 그것은 그의 단편들을 읽고 나니 더욱 명확하게 알게 되었다.


아프리카를 여행하다 다친 남자와 여자의 이야기, 식당을 찾아왔다 그냥 간 킬러 이야기, 여름 날 기차역에 앉아 흰 코끼리를 닮은 산등성이를 보면 술을 마시는 두 남녀, 시골 대장간의 남자와 그를 사랑하는 여자, 이탈리아에 피난 온 헝가리의 어린 혁명가, 창밖의 빗속에 웅크리고 있는 고양이를 키우고 싶어 하는 여자와 남편 등의 몇 페이지 되지 않는 짧은 분량의 단편들은 쉽게 읽혀지만 헤밍웨이가 빙산 아래 숨겨둔 생각을 읽어내기에는 어려웠다.


그래. 이제 그는 죽음에 관해 관심을 두지 않기로 했다. 한 가지 그가 항상 두려워했던 것은 고통이었다. -중략 - 지금은 지독한 상처를 지니고 있었고 자신을 파괴하고 있다고 느꼈을 즈음, 그 고통은 멈추었다. P53


주제작인 킬리만자로의 눈은 아프리카 킬리만자로 산을 찾아 여행을 가다 다리를 다친 남자와 그를 간호하는 여자의 이야기이다. 작가 해리는 가볍게 다친 다리를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아 다리가 썩어간다. 이 주일이 넘게 고립된 곳에서 죽음이 다가온다는 것을 느낀다. 죽음이라는 단어는 공포라는 단어와 한 쌍처럼 따라다닌다. 그런데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을 의식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가 본 킬리만자로의 모습은 무엇이었을까? 실제일까? 허상일까? 환영일까? 무엇이 진짜일까? 비극과 희극을 교묘히 교차해놓아 헷갈린다. 글의 구조상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원하는 결말이 있어 우기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읽고 나서 가장 당혹스러웠던 작품은 <흰 코끼리 같은 산등성이>였다. 옮긴이의 작품 해설이 따로 없어 한참을 고민하였다. 몇 번을 읽어보며 몇몇의 단어들을 조합해 보기는 했지만 역시 작품 해설이 필요했다. 검색을 하여 몇몇 글을 읽어보서야 아! 하는 깨우침의 탄성이 나왔다.(바보 같은 표정이었을 듯)


"만약 당신이 원하지 않는다면 꼭 할 필요는 없어. 당신이 원하지 않는다면 나는 하지 않을 거야."

"그런데 당신 정말로 원하는 거야?"

"그게 최선이라고 생각해. 하지만 당신이 정말 원하지 않는다면 하지 않길 바라."

킬리만자로의 눈 중 <흰 코끼리 같은 산등성이 P90>


몇 번 반복하다 찾아낸 단어는 <수술>이었다 두 남녀는 마드리드로 수술을 하러 가는 길인듯 하다. 남자는 여자에게 원하지 않으면 (수술)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그런 남자에게 여자는 (수술) 하는 것을 정말 원하는지 물어본다. 남자는 그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대답한다. 기차는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여자가 어떤 결정을 했는지 나오지 않는다. 여행 가방에 모든 호텔에 라벨이 붙어있는 것으로 보아 그들은 이곳저곳을 자유롭게 여행을 하며 지내는 사람들 같다. 그런 이들에게 어쩌면 아이는 구속일 수도 있다.


이 글은 <"당신 기분이 나아진 건가?" -중략- " 내게 나쁠 건 아무것도 없잖아. 나는 좋아." P95>라고 끝이 난다. (많이 공개되어 인용함) 수술을 하여도 나를 사랑하는냐고 물었던 여자는 어떤 선택을 하였기에 기분이 좋아진 것일까?


서평을 쓰려 검색을 하다 마음산책에서 펴낸 <헤밍웨이의 말>에 대한 리뷰를 읽게 되었다. 헤밍웨이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 그의 문체, 삶 등을 알 수 있는 그의 말들이 담겨있다. 그가 왜 마지막에 자살로 자신의 삶을 마감하게 되었는지 궁금해져서 읽어보고 싶어졌다.


이 책을 번역한 번역가 이정서는 <번역은 직역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서 직역의 의미는 '작가가 쓴 문장의 서술 구조를 살려주는 번역'을 의미한다.>라고 말한다. 번역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렇더라도 작품의 의미는 전달이 된다 생각했었다. 하지만 비교 번역문을 보니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새봄 출판사에 이정서 번역가의 작품이 더 있어 찾아 읽어봐야겠다. 특히 좋아하는 <어린 왕자>의 번역본도 있었다. 기존에 가지고 있는 책과 어떤 부분이 다른지 비교해 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이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