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로 간 처녀 - 처음 공개되는 작품으로 상영중단까지 당한 사회고발 문제작 김승옥 작가 오리지널 시나리오
김승옥 지음 / 스타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상 보이던 버스안내양이 어느 날 사라졌다. 그렇게 그녀들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존재하지 않은 사람이 되었다. 책은 인권의 가장 밑바닥에 있던 버스안내양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삥땅>이라는 단어는 어떤 이의 기억에는 정겹게 각인되어 있을 것이다. 아마 가장 많은 삥땅의 핑계는 책을 산다는 것이 아니었을까? 학생이었던 어린 시절 친구들과 영화도 보고, 빵집에서 소보르빵을 먹고 싶은데 돈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삥땅은 엄마에게 잔소리나 회초리 몇 대면 끝이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모이지 않는 돈에 버스 차비를 삥땅하는 버스안내양들에게 돌아온 것은 남자인 박총무앞에서 벌거벗은 몸을 수색당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삥땅을 하지 않은 문희에게까지 강요된다. 같은 버스안내양이지만 정직한 문희를 비웃으면 자신들의 행동을 반성하지 않는다.


영옥 - 김 기사님하구 나하구 택시 사업하는 생각!

도시로 간 처녀 P68


자신의 옳다고 여기기는 것을 꿋꿋이 지켜가는 문희의 모습도 인상 깊어지만 목표를 가지고 그것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쳐 올인한 영옥도 기억에 깊이 남았다. 택시를 사서 사업을 하고 싶다는 당찬 포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함께 하고 싶은 사람도 스스로 선택한다. 잘못된 선택이긴 하였지만 끝까지 쿨한 모습에 조금 반한듯하다.


건물의 높은 곳에 올라 소리치는 문희의 모습은 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시대가 바뀌어가도 세상의 밑바닥 인생은 존재하기 때문일까? 문희가 뛰어내린 모습에 버스안내양, 그녀들의 모습은 변했을까? 사람은 고쳐 써는 게 아니라지만 문희에 의해 개과천선한 돌아온 광석은 문희와 만났을지...


김승옥 작가는 직접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버스회사와 버스안내양들을 취재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한다. 그러나 영화가 상영되자 자동차노조연맹과 버스안내양들은 항의를 한다. 이에 영화진흥공사에서 우수영화상으로 선정되고 대종상 작품상을 수상할 예정이었던 작품은 상영이 중단된다. 이후 작품을 수정, 재검열 후 다시 상영되어지며 6회 황금촬영상 시상식에서 촬영상 동상을 수상한다.


작품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부조리, 불합리, 인권유린, 고용 착취는 현재는 사라졌는지 묻고 싶다. 그리고 왜 그러한 문제들을 외면하게 되었는지, 잊혀져가는지, 듣지 않게 되었는지도 묻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